
- 영강 마을 당산 경남 진주시 내동면(奈洞面)의 동쪽 지역에 독산리(篤山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남강이 북쪽으로 흐르며, 남강으로 흘러드는 작은 하천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지역이 낮고 평탄한 구릉성 산지로 되어 있습니다. 독산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독산동과 영강동을 병합하여 독산리라 하였습니다. 행정리는 독산(篤山)과 산강(山康)이 있습니다. - 영강 마을 당산 산강은 모산과 영강동을 합쳐 산강이라 하였습니다. 영강 마을 산기슭에 당산이 있습니다. 이곳에 수백 년 된 느티나무 세 그루가 있습니다. 옛날에는 해마다 당산제를 지냈으나, 근래에는 지내지 않습니다. - 영강 마을 당산 당산 도롯가에 있는 두 그루 노거수 느티나무입니다. 그중 한 그루는 보호수 느티나무입니다. 독산리 느티나무입니다..

- 우수리 느티나무 경남 진주시 명석면(鳴石面)의 남쪽 지역에 우수리(雨水里)가 있습니다. 우수(雨水)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 형국이 소머리 모양인 우수형(牛首形)이라 하여, 이와 음(音)이 같은 우수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마을은 우수(雨水), 나불(羅佛) 등이 있습니다. - 우수리 느티나무 우수 마을에 우수리 느티나무가 있습니다. - 우수리 느티나무 우수리 느티나무 모습입니다. - 우수리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늙고 쇠약해졌습니다. 밑동 대부분이 썩어 속을 다 드러내고 있습니다. - 우수리 느티나무 수령: 500년. 높이: 15m. 가슴높이 둘레: 4.5m. 소재지: 경남 진주시 명석면 우수리 517. (2025.12.25.)

- 관지리 굴참나무 경남 진주시 명석면(鳴石面)의 남쪽 지역에 관지리(觀旨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명석면사무소, 명석중학교가 있어 명석면에서 중심 지역입니다. 마을은 신촌, 관지, 삭평이 있습니다. 관지리는 예로부터 태동(台洞) 또는 관점(觀店)이라 하였는데, 이는 앞산과 뒷산 솔숲에 황새가 많이 모여 앉아 마을의 정취를 더해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 서낭당 관지리 북쪽 지역에 관지 마을이 있습니다. 이 마을 북쪽 숲 뒤의 길가에 서낭당이 있습니다.서낭당은 북당·서당·남당·동당이 있었으나, 먼저 동당이 없어졌습니다. 그 후 일제강점기에 서당과 남당도 없어져, 지금은 북당만 남아 있습니다. 서낭당에는 별도의 당집은 없습니다. - 관지리 굴참나무 관지 마을 북쪽 숲에 관지리 굴참나무가 있습니다..

- 신기리 팽나무 경남 진주시 명석면(鳴石面)의 북쪽 지역에 신기리(新基里)가 있습니다. 자연 마을은 동전(東田)과 신기(新基) 등이 있습니다. - 신기리 팽나무 신기(新基)에서 골짜기를 따라 남쪽으로 조금 내려오면 동전(東田)이 있습니다. 동전 마을은 광제산(廣濟山) 동쪽의 좁은 들판에 있습니다. 이 마을 입구에 신기리 팽나무가 있습니다. - 신기리 팽나무 신기리 팽나무 모습입니다. - 신기리 팽나무 동전 마을은 매년 음력 7월 15일(백중날)에 백중우제(百中牛祭)를 지냈습니다. 우제(牛祭)는 여름 내내 농사일로 고생한 머슴과 함께 소에게도 감사하고 산신령에게 소의 안녕을 기원하던 독특한 동제(洞祭)입니다. 예로부터 백중날에는 남녀가 모여 가무를 즐기며, 머슴들도 하루를 쉬며 취흥에 젖을 수 있..

- 신기리 느티나무 경남 진주시 명석면(鳴石面)의 북쪽 지역에 신기리(新基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에 정선 전씨(旌善全氏)가 처음 들어와서 살았는데, 대단한 부자였다고 합니다. 그 뒤를 이어서 진양 강씨(晋陽姜氏)와 능성 구씨(綾城具氏) 등이 들어와 살면서 새마을 또는 새터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이에 신기(新基)라고 하였습니다. 마을은 신기(新基), 동전(東田) 등이 있습니다. - 신기리 느티나무 신기 마을 앞 들판 도롯가에 신기리 느티나무가 있습니다. - 신기리 느티나무 신기리 느티나무 모습입니다. 느티나무는 벌거벗은 몸으로 차가운 겨울바람을 맞으며 햇볕을 쬐고 있습니다. - 신기리 느티나무 우리 동네 느티나무들 - 신경림 산비알에 돌밭에 저절로 나서 저희들끼리 자라면서 재재발거리고 떠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