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팽나무에서 바라본 삼천포 시내 경남 사천시 각산(角山) 동쪽 기슭에 동림동(東林洞)이 있습니다. 이곳에는 사천시 문화예술회관이 있고, 자연 마을로 동림(東林)이 있습니다. 동림(東林)은 예부터 대나무밭이 많아 붙여진 지명입니다. 예전에 서당이 있었으며, 삼천포 제일중학교가 설립될 당시 임시교사(臨時校舍)가 있었습니다. - 당집과 당산나무 사천시 문화예술회관 건너편 언덕에 오래된 당산나무 한 그루 있습니다. - 동림동 팽나무 당산나무는 동림동 팽나무입니다. - 동림동 팽나무 동림동 팽나무 모습입니다. 나무 밑동이 엄청나게 굵습니다. - 동림동 팽나무 밑동에는 수많은 골과 옹두리가 있습니다. 이것은 나무가 그동안 지낸 기나긴 세월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동림동 팽나무 동림동 팽나무는 봄..

- 덕곡리 느티나무 경남 사천시 용현면(龍見面)의 남쪽 지역에 덕곡리(德谷里)가 있습니다. 자연 마을은 덕곡과 부곡이 있으며, 부곡 마을 옆에 사천시청이 있습니다. 덕곡(德谷)의 옛 지명은 물이 좋고 농토가 많아 사람 살기에 좋은 곳이라 하여 '신덕'이라 하였습니다. 지금 지명은 신덕의 큰 '덕(德)' 자와 백천골의 긴 골짜기 아래에 있다고 하여 골짜기 '곡(谷)' 자를 합쳐서 ' 덕곡(德谷)'이라 하였습니다. - 덕곡리 느티나무 부곡 마을 남쪽 도롯가에 자그마한 공원이 있습니다. 이곳에 덕곡리 느티나무가 있습니다. - 덕곡리 느티나무 덕곡리 느티나무 모습입니다. - 덕곡리 느티나무 덕곡리 느티나무는 조금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줄기가 밑동에서 사방으로 비스듬히 뻗어 자랐습니다. - 덕곡리..

- 신복리 소나무 경남 사천시 용현면(龍見面)의 북쪽 지역에 신복리(新復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봉두산 아래 있으며, 마을은 신복(新復), 신영, 평기(坪基)가 있습니다. 신복리 지명은 예전에 '신복(申伏)'으로 쓰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신복(新復)'으로 바뀌었습니다. 그 이유를 아는 사람은 없고, 문헌에도 찾을 수 없습니다. 당시 일본인들이 지명을 바꾸지 않았는지 하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 신복리 소나무 신복 마을 뒤편 언덕에 신복리 소나무가 있습니다. - 신복리 소나무 신복리 소나무 모습입니다. - 신복리 소나무 소나무는 우아한 자태를 뽐내고 있습니다. - 신복리 소나무 소나무 솔잎 일부가 누렇게 말라 있습니다. 소나무재선충병에 걸린 것이 아닌지 걱정스럽습니다. - 신복리 소나무..

- 고읍리 감나무밭 경남 사천시 정동면(正東面)의 북쪽 지역에 고읍리(古邑里)가 있습니다. 고읍리는 너른 들판을 가진 마을로, 이곳 지명은 옛 사천 고을의 중심이었던 읍치(邑治) 소재지였던 것에서 유래합니다. - 고읍리 이팝나무 고읍리 웃말과 아랫말 중간 지점의 들판에 고읍리 이팝나무가 있습니다.이팝나무가 있는 곳은 본래 풍수상 지세의 결함을 보허(補虛)하기 위해 만든 조산(造山)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1970년대 경지 정리로 조산은 없어지고, 이팝나무 한 그루만 조금 높다란 부지에 서 있습니다. 이곳은 배 모양의 형상이기 때문에 이팝나무는 돛의 구실을 하는 나무라고 합니다. - 고읍리 이팝나무 고읍리 이팝나무 모습입니다. - 고읍리 이팝나무 마을 사람들은 고읍리 이팝나무를 '헌 누더기 나무'라고 합..

- 풍정리 회화나무 경남 사천시 정동면(正東面)의 북쪽 지역에 풍정리(豊井里)가 있습니다.이곳 지명은 세종 때 사천읍으로 읍지를 옮기기 이전 지금의 풍정에 향교가 있을 때 향교 풍화루(風化樓)의 '풍(豊)' 자를 따서 풍정(豊停)이라 하였습니다. 그 후 신풍동(新豊洞)으로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신풍동과 상정동(上井洞)의 글자에서 한 자씩 따와 풍정(豊井)이라 하였습니다. - 풍정리 회화나무 풍정 아랫말 경로당 앞뜰에 아름드리 회화나무 두 그루와 그 사이에 키가 조금 작은 느티나무 한 그루가 나란히 서 있습니다. -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두 그루 회화나무는 예로부터 마을 사람들 신앙의 대상이자 마을의 상징으로 보호 받아왔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지금 느티나무보다 더 오래된 느티나무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