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방동 정자공원 경남 김해시 중앙부에 삼방동(三芳洞)이 있습니다. 삼방 마을이 형성될 당시 활천리라 하였다가 이후 안각단으로 불렸으며, 마을로 들어가는 신어천에 판교가 가설된 후에 판교리(板橋里)라고 하였습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김해읍성을 지키다 순절한 임진왜란의 최초 의병장인 이대형(李大亨)의 충절, 그의 아들 이우두(李友杜)의 효행, 질녀 이씨(李氏)의 열행(烈行) 등 삼강(三綱)을 실천한 세 사람의 꽃처럼 아름다운 넋을 기리기 위하여 삼강리(三綱里)로 바꾸었습니다. 이후 충효열(忠孝烈)이 꽃처럼 피어난 마을이라는 뜻으로 삼방리(三芳里)라 하였고, 1947년에 삼방동이 되었습니다. - 삼방동 팽나무 삼방초등학교 남쪽에 정자공원이 있습니다. 이 공원 한쪽에 삼방동 팽나무가 있습니..

- 덕산리 팽나무 경남 김해시 대동면의 북동쪽 지역에 덕산리(德山里)가 있습니다. 덕산리는 덕산(德山) 아래에 형성된 마을이라 붙여진 지명입니다. 이곳은 고려시대부터 덕산역(德山驛)이 있어서 김해에서 양산으로 가는 교통의 요지였으며, 덕산역은 조선시대 말까지 있었습니다. 지금 마을 앞으로 중앙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지선이 교차하는 대동JC가 있고, 마을 뒤편에 부산시의 수원이 되는 덕산정수장이 있습니다. 자연 마을로 갱생원, 고암, 덕산, 신암, 신촌이 있습니다. - 덕산리 팽나무 덕산 마을에 보호수 노거수가 두 그루가 있습니다. 한 그루는 덕산 마을 입구에 있는 팽나무이고, 다른 한 그루는 마을 가운데에 있는 푸조나무입니다. - 덕산리 팽나무 마을 입구에 있는 팽나무입니다. 덕산리 팽나무입니다. -..

- 주중리 팽나무 경남 김해시 대동면 서남쪽 지역에 주중리(酒中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북서쪽 돗대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진 산줄기를 경계로 대동면 수안리(水安里)와 접하고 있습니다.주중(酒中)은 '주부골의 중앙'이라는 뜻입니다. 조선 전기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이 아문의 문서를 주관하던 주부(主簿)로 지내다가 김해에 내려와 정자를 지어 머물면서 이곳을 주부골(主簿谷)이라 불렀습니다. 또 다른 유래로는 풍수지리상 마을 뒷산이 황금 술통 모양의 명당(明堂)이라 주중(酒中)이라 이름하였다고도 전합니다.자연 마을로 주중 마을이 있습니다. 주중 마을은 전원주택 단지로 조성되어 있으나, 대부분 원래 주민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 주중리 팽나무 수안리에서 주중리로 넘어가는 선만고개 도롯가에 노거..

- 여차리 팽나무 경남 김해시 상동면의 북쪽 지역에 여차리(余次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김해에서도 오지(奧地)로, 대부분 지역이 보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산지(山地)입니다. 여차리 지명 유래에 대해 여러 설이 있습니다. '여차'의 한자음 '여(余)'가 상대방인 '너'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넘다'의 '너'를 표현하기 위하여 음을 빌려 쓴 글자라는 것입니다. 무척산, 시루봉, 석룡산 등의 준령을 넘어야 이 마을에 올 수 있기 때문에 '산 너머의 다음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붙인 지명이라고 합니다. 또 다른 설은 서쪽 생림면에서 넘어오는 구불구불한 여덟막고개에서 나온 지명이라고도 하며, 옛날 어떤 사람이 마을을 여덟 번 둘러본 끝에 명당을 찾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지명이라고도 합니다. 자연 마을로 여차..

- 괴정 마을경남 김해시 대동면에 괴정리(槐井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김해 백두산의 동쪽 지역으로, 고속도로 대동IC가 위치해 있습니다. 자연 마을로 괴정 마을과 지나 마을이 있습니다. 괴정리는 괴정 마을에서 유래한 지명입니다. 괴정 마을은 과거에 괴정리(槐亭里) 또는 회나무골(괴목곡(槐木谷))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지금은 '정(亭)' 자 한자를 바꾸어 괴정리(槐井里)로 표기하고 있습니다.부산시에 인접한 괴정리는 대도시 공업 기능의 교외화로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옛 자연 마을의 모습이 사라지고 있으며, 가구 수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 괴정 괴정 마을 안쪽에 300년이 넘은 우물이 있습니다. 이 우물은 회화나무 '괴(槐)' 자와 우물 '정(井)' 자를 따서 '괴정(槐井)'이라 합니다. 이 우물은 예전에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