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계동 푸조나무 김해 무계동(茂溪洞)은 남해제2고속도로 장유IC 동쪽에 있습니다. 이곳은 본래 장유면(長有面)에 속하던 곳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광석암(廣石岩)을 병합하여 무계리(茂溪里)가 되었고, 그 후 무계동(茂溪洞)이 되었습니다. 무계(茂溪)라는 지명은 이 지역에 대청천(大淸川)과 핏내(稷川) 등 개울이 많은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합니다. 자연 마을로는 무계(茂溪), 광석(廣石) 등이 있습니다. - 무계동 푸조나무 장유IC 부근 광석 마을에 무계동 푸조나무가 있습니다. - 무계동 푸조나무 무계동 푸조나무 모습입니다. - 무계동 푸조나무 남부지방에서 팽나무인 것도 같고 아닌 것도 같은 나무를 만난다면 그건 푸조나무일 가능성이 큽니다. 푸조나무는 팽나무와 닮았다고 해서 개팽나무라고도 ..

- 관동동 느티나무 김해시 율하동 서쪽 지역에 관동동(官洞洞)이 있습니다. 이곳은 팔판산(八坂山) 아래에 있으며, 옛날 적항역(赤項驛)의 역관(驛館)이 있어 '관동(官洞'이라 하였습니다. 1914년에 화촌리와 신문리 일부를 병합하여 관동리(官洞里)라고 하였고, 후에 관동동(官洞洞)이 되었습니다. 마을은 팔판(八判), 덕정(德亭), 화촌(花村), 죽림(竹林), 신안(新安) 등이 있습니다. - 관동동 느티나무 팔판(八判) 마을은 대단지 아파트 단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팔판(八判)'은 팔판산(八判山) 아래에 있어 여덟 판서(判書)가 나올 명당이라는 팔판산의 정기를 내려받자는 취지로 붙여진 이름입니다. - 관동동 느티나무 팔판 마을의 정자나무공원에 관동동 느티나무가 있습니다. - 관동동 느티나무 관..

- 화산정사 김해 장유 율하에 반룡산공원이 있습니다. 반룡산공원을 지나 반룡산(盤龍山, 화산(華山))을 올라가다 보면, 춘화골(春花谷)에 눈에 띄는 한옥이 있습니다.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재실인 화산정사(華山精舍)입니다. 화산정사는 장유 율하가 내려다보이는 반룡산 중턱에 자리 잡은 남향집입니다. 이 건물은 이음과 맞춤이 치밀하며 마름질과 세부 수법이 우수한 근대 한옥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 이례문 화산정사의 정문인 이례문(以禮門)입니다. 이례문의 '이례(以禮)'는 '예로써 한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예를 중요시한 전주이씨 가문의 가치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화산정사 화산정사는 전주이씨 김해 입향조인 이조참판 소요재(逍遙齋) 이춘흥(李春興)과 그리고 통정대부 이주국(李周國)을 추모하여 세운 재실입니..

- 삼층석탑 경주 남산 북동쪽에 탑곡(塔谷)이 있습니다. 탑곡에서 산길을 따라 골짜기 안으로 들어가면 옥룡암이 있습니다. 옥룡암 뒤쪽에 커다란 바위가 있습니다. 부처바위입니다. 부처바위 뒤쪽 언덕에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 삼층석탑 부처바위 뒤쪽에 있는 삼층석탑입니다. 탑의 모습은 평범합니다. 기단부와 탑신부 어느 것 하나 특별히 내세울 것이 없습니다. 다만 지붕돌 낙수면 합각선에 얕은 우동마루가 있습니다. - 부처바위(남면) 삼층석탑과 지척의 거리에 부처바위가 있습니다. - 석불입상 부처바위 앞에 얼굴이 파손된 석불입상이 있습니다. 풍만한 몸매에 비해 홀쭉한 허리가 인상적입니다. - 승려상(?) 석불입상 뒤쪽의 부처바위 벽면에 얕은 감실을 파고 새긴 조각상이 있습니다. 승려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不在: 시화, 강신석, 김춘수, 1978, 종이에 파스텔, 펜, 40x31cm, 개인소장 2025년 2월 초 경남도립미술관 전시에서 화가 강신석의 그림 두 점을 만났습니다. 강신석(姜信碩, 1916~1994)은 시인 김춘수(金春洙, 1922~2004)와 인연이 깊었습니다. 1953년 마산 백랑다방에서 '김춘수·강신석 시화전'을 개최해 '오랑캐꽃' 등 20여 점의 시화를 발표하였다는 기사가 있지만, 안타깝게도 당시의 시화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들의 시화 중 확인되는 것은 대구에서 다시 열린 '김춘수·강신석 시화전'의 출품작 '부재(不在): 시화'가 유일합니다. 이 작품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과 무상함을 표현한 김춘수의 시와 강신석의 텅 빈 찻사발이 인생무상을 나타내는 쓸쓸함을 고조시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