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모역(폐역) 대구시 수성구(壽城區)의 북쪽 지역에 고모동(顧母洞)이 있습니다. 고모동은 수성구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지역입니다. 자연 마을로는 고모령, 팔현, 큰갓골 등이 있습니다. 고모령은 고모역(폐역) 주변의 자연 마을입니다. 1948년에 발표된 호동아(유호의 필명) 작사, 박시춘 작곡의 '비 내리는 고모령'과 관련이 있는 지명입니다. - 고모동 이팝나무 고모역(폐역) 맞은편 야산으로 50여m 정도 올라가면 고모동 이팝나무가 있습니다. 이팝나무는 네 그루입니다. - 고모동 이팝나무 고모동 이팝나무 모습입니다. - 고모동 이팝나무 이곳 이팝나무 가운데 가장 큰 나무입니다. - 고모동 이팝나무 다른 이팝나무입니다. - 고모동 이팝나무 고모동 이팝나무는 고모동에 마을이 생기면서 심었다고 전..

- 우가항 울산 당사 마을이 있는 당사항(堂舍港) 북쪽에 우가항(牛家港)이 있습니다. 우가항은 항구라고 하기에는 매우 작습니다. 이곳 지명 '우가(牛家)'는 마을 지형이 소가 누운 것 같이 생겼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전합니다. - 당사동 곰솔 우가 마을 뒤 산기슭에 당사동 곰솔이 있습니다. - 당사동 곰솔 곰솔 앞에 제당이 있습니다. 당사동 곰솔은 당산나무입니다. - 당사동 곰솔 당사동 곰솔 모습입니다. 밑동에 금줄이 둘려져 있습니다. - 당사동 곰솔 최근 몇 년 동안 경상도 지역에서 소나무에 재선충병이 번지고 있습니다. 당사동 곰솔에도 재선충병의 조짐이 보입니다. 곰솔이 재선충병을 잘 견뎌내기를 빌어봅니다. - 당사동 곰솔 수령: 250년. 높이: 22m. 가슴높이 둘레: 4.25m. 소재지:..

- 당사 마을 울산시 북구의 동쪽 바닷가에 당사동(堂舍洞)이 있습니다.이곳 지명 '당사(堂舍)'는 서낭당이나 제당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마을은 당사(堂舍)와 우가(牛家)가 있습니다. - 당사동 느티나무 당사 마을 골목에 당사동 느티나무가 있습니다. - 당사동 느티나무 느티나무 옆에 제당이 있습니다. 당사동 느티나무는 당산나무입니다. - 당사동 느티나무 당사동 느티나무 모습입니다. - 당사동 느티나무 당사동 느티나무는 '할배나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 당사동 느티나무 당사동 느티나무에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합니다. 옛날, 당사 마을에 사이좋은 노부부가 살았는데, 할머니는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였습니다. 어느 날 선녀는 목욕하러 하늘에서 용을 타고 당사 마을에 내려오다 용에서 떨어져 바다에 ..

- 연암동 회화나무 울산시 북구의 서쪽 지역에 연암동(蓮巖洞)이 있습니다.연암(蓮巖)은 본래 시여평(詩餘坪)이라고도 하던 곳입니다. 고려 후기 충렬왕(忠烈王) 때 이곳 바위에 성스러운 흰 연꽃무늬가 수놓은 듯 피어나 가정(稼亭) 이곡(李穀, 1293~1351)과 울산에 유배되어 있던 설곡(雪谷) 정포(鄭誧, 1309∼1347)가 찾아와서 시를 남길 정도로 이름이 났습니다. 이에 이 바위를 백련암(白蓮巖)이라 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연암'이란 지명이 유래되었습니다. - 연암동 회화나무 백련암(白蓮巖)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습니다. 백련암은 무룡산 서쪽의 오봉산 자락에 있었는데, 크고 흰 연꽃이 피기로 유명하였습니다. 돌에 꽃이 피게 되니 이것을 구경하려고 전국에서 사람들이 몰려들었습니다. 백련암에 핀..

- 반구동 곰솔 울산시 중구의 동쪽 지역에 반구동(伴鷗洞)이 있습니다. 반구동 지명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참전하여 개운포(開雲浦)에서 전사한 퇴사재(退思齋) 이응춘(李應春, 1540~1594)이 이곳에 세운 정자 이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 정자 이름이 반구정(伴鷗亭)입니다. 반구정은 울산시 중구와 북구를 관통하여 흐르는 동천(東川) 가에 있습니다. - 반구동 성황당 반구정 남쪽의 내황(內隍) 마을에 제당(祭堂)이 있습니다. 반구동(伴鷗洞) 성황당(城隍堂)입니다. - 반구동 곰솔 성황당 뒤편에 반구동 곰솔이 있습니다. - 반구동 곰솔 반구동 곰솔 모습입니다. - 반구동 곰솔 반구동 곰솔은 특이한 수형(樹形)의 곰솔입니다. 곰솔은 그루터기에서부터 뱀이 똬리를 틀듯이 휘감은 채 시작되어 쌍으로 나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