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구지봉과 고인돌

sky_lover_ 2012. 6. 7. 07:57

- 구지봉 정상

해박물관과 수로왕비릉 사이에 구지봉(龜旨峰)이라고 하는 작은 봉우리가 있습니다.

이 봉우리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은 이곳의 지형이 마치 거북이 엎드린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지금 수로왕비릉이 있는 곳이 거북의 몸체이고, 서쪽으로 쭉 내민 봉우리 즉 구지봉이 거북의 머리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곳은 가야국의 시조 수로왕이 탄강(誕降)하였다고 전해지는 곳입니다.

신라 유리왕 19년(42년) 하늘로부터 이곳에 황금알이 내려와 수로왕이 탄생하였고, 아도간(我刀干)·여도간(汝刀干) 등 구간(九干)과 백성들의 추대로 그는 왕이 되었습니다. 그때 수로왕을 맞이하기 위해 구간과 백성들이 이곳에서 춤을 추며 불렀다는 노래로 '구지가'가 전합니다.

- 구지봉 고인돌

구지봉 정상에는 고인돌이 있습니다.

이 고인돌을 구지봉 고인돌이라고 합니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무덤입니다. 그러니까 이 고인돌은 가야국이 생기기 한참 이전부터 이곳에 있었습니다. 전형적인 남방식 고인돌로 크기는 작은 편이지만, 특이하게도 구릉의 정상에 있습니다.

이 고인돌은 아직 정식 발굴조사가 되지 않아 정확한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주변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의 마을유적 등의 사례를 보아 기원전 4~5세기경 이 지역을 다스렸던 족장의 무덤으로 추정됩니다.

- 고인돌에 새겨진 글자

구지봉 고인돌은 5∼6개의 짧은 받침돌 위에 지름 2.5m 정도 되는 덮개돌이 덮여 있습니다. 그리고 덮개돌에는 '구지봉석'(龜旨峰石)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이 글자는 조선시대 명필인 한석봉이 썼다고 전합니다.

지금 이곳 구지봉 정상에서 수로왕의 탄강을 알려주는 그 어떤 흔적도 찾을 수 없습니다. 단지 그때 불렀다는 구지가만 어디에선가 들리는 듯 귓가에서 맴돕니다.

구지가(龜旨歌)


거북아 거북아         龜何龜何   
머리를 내어라         首其現也      
내어 놓지 않으면      若不現也      
구워서 먹겠다         燔灼而喫也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동마을 수운정  (0) 2012.06.09
김해 구산동 마애불  (0) 2012.06.08
파사석탑  (0) 2012.06.05
김해 초선대 마애불  (0) 2012.06.04
경주 남산의 석탑 (서쪽 편)  (0) 2012.06.03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