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일리 회화나무 경북 경산시 남천면(南川面)의 북쪽 지역에 구일리(九日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성암산( 聖岩山) 남쪽 골짜기에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입니다. 마을은 구일(九日) 등이 있습니다. 구일리는 임진왜란에서 패망한 어느 장수가 동네 뒷산의 계곡에서 9일 동안 피난 생활을 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라고 합니다. 큰 굴이 있어서 '구일'이라 불렀다는 설도 있습니다. - 구일리 회화나무 구일 마을 입구에 구(舊) 구일 지하도가 있습니다. 이 지하도 부근 도롯가에 구일리 회화나무가 있습니다. - 구일리 회화나무 구일리 회화나무 모습입니다. 줄기와 가지가 자유분방(自由奔放)합니다. - 구일리 회화나무 파란 하늘을 머리에 이고 있는 가지에는 시든 잎과 열매가 매달려 있습니다. - 구일리 회화나무..

- 풍정리 회화나무 경남 사천시 정동면(正東面)의 북쪽 지역에 풍정리(豊井里)가 있습니다.이곳 지명은 세종 때 사천읍으로 읍지를 옮기기 이전 지금의 풍정에 향교가 있을 때 향교 풍화루(風化樓)의 '풍(豊)' 자를 따서 풍정(豊停)이라 하였습니다. 그 후 신풍동(新豊洞)으로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신풍동과 상정동(上井洞)의 글자에서 한 자씩 따와 풍정(豊井)이라 하였습니다. - 풍정리 회화나무 풍정 아랫말 경로당 앞뜰에 아름드리 회화나무 두 그루와 그 사이에 키가 조금 작은 느티나무 한 그루가 나란히 서 있습니다. -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두 그루 회화나무는 예로부터 마을 사람들 신앙의 대상이자 마을의 상징으로 보호 받아왔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지금 느티나무보다 더 오래된 느티나무 한 ..

- 송정리 회화나무 창원시 의창구 동읍의 남동쪽 지역에 송정리(松亭里)가 있습니다. 송정리는 정병산(精兵山)의 북동쪽 사면과 대산평야의 남쪽 끝이 맞닿은 곳에 있습니다. 마을 앞은 대산평야의 남쪽 끝부분이 펼쳐져 있어, 넓은 평야가 있습니다. 또한, 남해고속도로가 가로질러 가서 이곳 북쪽 지역에 동창원TG가 있습니다. - 송정리 회화나무 송정리 동읍농협 자여지점 맞은편에 송정마을회관이 있습니다. 이곳에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역인 자여역(自如驛)이 있었다고 합니다. 동읍농협 자여지점 앞쪽에 송정리 회화나무가 있습니다. - 송정리 회화나무 송정리 회화나무 모습입니다. - 회화나무 열매 회화나무 가지마다 열매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습니다. - 송정리 회화나무 회화나무 밑동에 금줄이 둘려 있습니다. 회화나무..

- 천전리 대현 마을 울산시 울주군 두동면의 남서쪽 끄트머리에 천전리(川前里)가 있습니다. 천전리는 암각화와 공룡발자국 화석으로 유명한 지역입니다. '천전(川前)'은 '냇가 앞의 마을'이란 뜻입니다. 이곳 서쪽의 구량천(九良川) 가에 대현(大峴) 마을이 있습니다. - 대현 마을 당산마당 대현 마을 당산마당에 세 가지 수종의 노거수가 있습니다. 회화나무와 팽나무, 서어나무입니다. - 천전리 회화나무와 팽나무 회화나무와 팽나무는 얼핏 보면 한 그루 나무 같습니다. 마치 한 나무처럼 아랫부분의 줄기가 합쳐져 자라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무를 연리목(連理木)이라고 합니다. '연리(連理)'란 가까이 있는 두 나무가 맞닿은 채로 오랜 세월이 지나면 합쳐져 한 나무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한 남녀 간의 애틋한 사..

- 구량리 울산시 울주군 두서면의 남쪽 지역에 구량리(九良里)가 있습니다. 구량리 일대는 삼한시대 성읍 국가인 구량벌(仇良伐)이 있었던 곳입니다. 에 "구(仇)는 높은 곳을 의미하는 고(高)의 뜻으로 추정된다. 량(良)은 냇가(川) 또는 나라(國)의 의미이며, 벌(伐)은 원야(原野)로 '높은 나라'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자연 마을은 송정(松亭)과 중리(中里)가 있습니다. - 구량리 팽나무(오른쪽), 회화나무(왼쪽), 송정 마을에서 골목길을 따라 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마지막 집 끝머리쯤에 당집이 있습니다. 이 당집 양옆에 노거수 두 그루가 있습니다. 구평리 팽나무와 회화나무입니다. - 구량리 팽나무 구량리 팽나무 모습입니다. 팽나무는 나무 중간에서 줄기가 잘려 나가 볼품이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