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양 마을 경남 산청군 단성면(丹城面)의 동쪽 지역에 사월리(沙月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비교적 넓은 평지와 산지로 되어 있으며, 남강과 남사천이 흐릅니다. 자연 마을로는 감나무정, 도평, 배양, 배양새터 등이 있습니다. 배양(培養) 마을은 문익점 면화시배지가 있으며, 문익점(文益漸, 1329~1398) 선생이 태어난 곳입니다. 동쪽 둔덕이 뱀이 서려 있는 형상이라 하여 배양, 또는 배미라 하였습니다. - 사월리 은행나무 배양 마을 뒤쪽에 사월리 은행나무가 있습니다. - 사월리 은행나무 사월리 은행나무는 마을 민가 뒤쪽에 있습니다. - 사월리 은행나무 민가 뜰에서 바라본 사월리 은행나무 모습입니다. - 사월리 은행나무 사월리 은행나무 쪽으로 가려면 민가 옆 골목길로 돌아가야 합니다. - 사월리 은행..

- 응석사 진주 집현산(集賢山) 남쪽 자락에 응석사(凝石寺)가 있습니다. 응석사는 진주에서 역사가 오래된 절입니다. 이 절은 신라 진흥왕 15년(554년)에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합니다. 그러나 자세한 건립 경위는 알 수 없습니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응석사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관음전, 문수전, 극락전, 영산전, 나한전 등 163개의 방이 있었는데,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 때 왜군이 침입해 불상 밑에 숨겨둔 무기를 발견하고 절을 불살랐다고 합니다. 그 뒤 절이 쇠퇴하였고, 영조 12년(1736년)과 고종 36년(1899년)에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 은행나무 대웅전 앞 뜨락에 보호수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 은행나무 은행나무 뒤로 보이는 키 큰 나..

- 장기초등학교 포항 장기면의 중심지인 읍내리 바로 동쪽에 마현리(馬峴里)가 있습니다. 마현리는 문장가가 많이 나왔다 하여 '명장(明章)'이라 불리었으며, 상명, 중명, 하명으로 나누었습니다. 조선 태조 5년(1396년)으로 추정되는 시기에 장기향교(長鬐鄕校)가 세워졌습니다. 향교가 있는 상명을 명장이라 하고, 중명과 하명을 합하여 교동이라 하였습니다. 마현리 서쪽 읍내리와 경계 지역에 장기초등학교가 있습니다. 장기초등학교는 1911년에 장기보통학교로 인가받아 개교하였습니다. 개교한 지 100년을 훌쩍 넘겼습니다. - 장기초등학교 은행나무 장기초등학교 교정에 노거수 은행나무가 있습니다. 장기초등학교 은행나무입니다. 지금 장기향교는 장기읍성(長鬐邑城) 내에 있습니다. 그런데 장기향교가 그곳으로 옮겨가기 ..

- 양항리 은행나무(할매나무) 영천시 임고면의 서쪽 지역에 양항리(良巷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를 배향(配享)한 임고서원(臨臯書院)이 있으며, 땅 모양이 누에와 비슷하게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습니다. 포은 정몽주의 아버지인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 정운관(鄭云瓘)의 무덤이 임고서원 북쪽 골짜기 안의 산언덕에 있습니다. 포은 정몽주는 당시 부모가 돌아가면 백일상(百日喪)을 많이 지냈으나 19세의 젊은 나이로 삼년상(三年喪)의 여묘(廬墓)살이를 하였습니다. 동네 사람들은 지극한 효자가 태어났다고 하여 지명을 도일리(道日里)라고 하였습니다. 그 후 도일리는 지금의 양항리(良巷里)로 바뀌었습니다. 임고서원의 교육적 역할과 포은 정몽주의 효성으로 인하여 선량한 동네가 되었으므로 양항리..

- 용산리 당산나무 영천시 영천호(永川湖) 북쪽에 자양면 용산리(龍山里)가 있습니다. 용산리는 북쪽에 위치한 기룡산에서 남쪽 꼬깔산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가 마을 서쪽을 감싸고 있고, 기룡산 동남쪽으로 내려온 다른 산줄기가 마을 북동쪽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이들 산에서 발원한 하천이 마을 가운데로 흘러 내려와 영천호로 들어갑니다. 이곳은 예전에 호환(虎患)을 피하기 위한 당굿을 하였을 만큼 마을 주위의 지형이 험준한 곳입니다. 이곳 지명은 마을 북쪽에 있는 기룡산(騎龍山)의 이름을 따와 용산(龍山)이라 하였습니다. 자연 마을로 원각(元覺), 월연(月淵), 인구(仁邱, 寅邱), 장밭(長田) 등이 있었으나, 1974년 영천댐 건설로 원각 마을 외에는 모두 수몰되었습니다. - 용산리 당산나무 '원각(元覺)'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