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밀양 숭진리 삼층석탑

sky_lover_ 2017. 3. 29. 09:49

- 밀양 숭진리 삼층석탑


양 숭진리(崇眞里)에 탑들이라고 하는 골짜기 안에 고려시대 석탑인 숭진리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숭진리는 밀양 삼랑진읍의 서북쪽 지역에 있습니다. 서쪽으로 임천리(林川里)와 인접해 있어 임천숭진(林川崇眞)이라 하기도 합니다. '숭진(崇眞)'이란 지명은 불교의 영향을 다분히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은 이곳에 있는 탑으로 보아서도 그렇습니다. 탑이 있는 절터는 숭진사지(崇眞寺址), 용은사지(龍隱寺址), 가리사지(加利寺址) 등 여러 이름이 입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 숭진리 삼층석탑


탑은 자그마하고 아담합니다. 형태는 단층기단의 삼층석탑입니다.


- 숭진리 삼층석탑


탑은 기단부보다 탑신부가 다소 왜소해 보입니다. 그리고 탑신부 몸돌의 체감률이 높습니다.


- 기단부


기단부는 단층기단입니다. 지대석 2단 괴임 위에 기단부가 있습니다. 기단 면석에는 어느 때 생긴 것인지는 알 수 없는 총탄 자국이 있습니다.


혹자는 지대석을 하대갑석으로 주장하기도 합니다. 즉 기단부를 이층기단으로 보았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지대석을 하대갑석으로 보기에는 두께가 두껍고, 아랫면이 거칠게 되어 있습니다.


- 지대석


지대석 윗면에 2단 호각형 괴임이 있습니다. 윗단이 아랫단에 비해 크게 왜소하여 눈에 잘 띄질 않습니다.


- 지대석의 물매


지대석 윗면에 얕은 물매가 있고, 각 모서리에 합각선이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괴임 모서리에도 합각선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지대석의 물매는 고려시대 석탑에 볼 수 있는 특징 가운데 하나입니다.


- 기단부


기단부 면석 일부에서 부재를 따로 만들어 끼운 부분이 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 기단 갑석


기단 갑석 아랫면에 부연이 있고, 윗면에 2단 호각형 괴임이 있습니다. 이곳 괴임은 지대석의 괴임과는 달리 윗단이 뚜렷합니다.


- 기단 갑석의 물매


기단 갑석 윗면에 얕은 물매가 있고, 갑석과 괴임의 각 모서리에 합각선이 있습니다.


- 탑신부


탑신부는 1층 몸돌, 1층 지붕돌, 2층 몸돌, 2층 지붕돌과 3층 몸돌, 3층 지붕돌로 되어 있습니다. 상륜부는 없어졌습니다.


- 숭진리 삼층석탑


2층 지붕돌과 한 돌로 된 3층 몸돌은 다른 층 몸돌보다 폭과 높이가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 이 때문인지 탑의 균형미에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 숭진리 삼층석탑


탑을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고 싶어 뒷산에 올랐습니다. 평지에서 바라볼 때와는 또 다른 느낌을 줍니다. 들판에는 파릇파릇하게 새싹이 돋아나고 있습니다. 봄이 오는 소리가 아련하게 들리는 듯합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녕 광산서당  (0) 2017.04.02
잊힌 세월의 흔적, 구 밀양역 파출소  (0) 2017.03.30
영암사지 귀부  (0) 2017.03.27
창녕 원동서당 옆 석등대좌  (0) 2017.03.23
영암사지 금당터 불상 지대석의 팔부중상  (0) 2017.03.20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