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창녕 원동서당
창녕 원촌리는 고암면의 서쪽 지역으로, 남쪽으로는 토평천(土坪川)을 경계로 억만리와 맞붙어 있습니다. 원촌이란 지명은 토평천(옛 이름은 물슬천(勿瑟川))의 흐름에서 유래했습니다.
원촌(元村)은 원래 원촌(圓村)이라 했습니다. 냇물은 구불구불 굽이치며 흐르게 마련인데, 물길이 이곳에서 둥글게 돌아서 갑니다. 그래서 둥근 마을이라는 뜻으로 원촌(圓村)이라 하였습니다. 또한, 주위 산도 돌방하고 장기리에서 넘어오는 고개도 돌방하여 돌방 또는 돌방고개라 하였습니다. '돌방'은 둥글다는 이곳 사투리이니, 원촌(圓村)이란 이름과 다를 바 없습니다. 그런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둥글 '원(圓)'이 이곳 지명 유래와는 무관한 으뜸 '원(元)'으로 바뀌었습니다.
- 원동서당
이곳 불탕골에 원동서당(圓東書堂)이 있습니다. 이 서당은 조선 중기 유학자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강학소라고 전해옵니다.
원동서당이 있는 이곳은 원촌마을의 옛터라고 합니다. 이곳에 정씨들이 처음 터를 잡고 살았는데, 불이 나서 마을이 없어졌다고 합니다. 불탄 골짜기란 뜻으로 불탄골, 불탕골, 불당곡으로 불립니다. 그 후 경주 이씨가 아래쪽에 살게 되면서, 마을 모양이 보름달과 같다고 하여 원촌이라 하였다고도 합니다.
- 원동서당
원동서당은 대문이 잠겨 있어 안으로 들어갈 수 없습니다. 그러나 담장이 낮아서 밖에서 들여다보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 은행나무
원동서당 옆에 큰 은행나무가 있습니다. 수령이 500년쯤 되었다고 하니, 서당과 고락을 같이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은행나무의 금줄
은행나무 밑동에 금줄이 걸려 있습니다. 지금도 마을에서 당산나무로 은행나무에 당산제를 지내는 모양입니다.
- 제단석
은행나무 앞에 제단석이 놓여 있습니다.
- 석등대좌
제단석 아랫면을 살펴보면, 연꽃무늬가 있습니다. 제단석은 석등 하대석입니다. 그것을 뒤집어 편평한 면이 위로 오게 하여 제단석으로 삼았습니다.
- 석등대좌
연꽃무늬는 복엽복판(複葉複瓣)의 연꽃무늬입니다.
- 은행나무
은행나무 뒤쪽은 나지막한 구릉으로, 무덤 몇 기가 있습니다. 이곳이 양지바른 곳임을 뜻합니다. 이른 봄을 맞아 여기저기에서 온갖 풀의 새싹들이 살며시 고개를 내밀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봄의 숨결이 미약한 지금 이곳에는 스산함이 남아 있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양 숭진리 삼층석탑 (0) | 2017.03.29 |
---|---|
영암사지 귀부 (0) | 2017.03.27 |
영암사지 금당터 불상 지대석의 팔부중상 (0) | 2017.03.20 |
영암사지에서 만난 사자상들... (0) | 2017.03.18 |
독락당 안을 들여다보다. (0) | 2017.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