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창원 용주암


원시 서쪽 마산지역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산이 무학산(舞鶴山)입니다. 옛 이름은 풍장산이었는데, 신라말 최치원이 이곳에 머물면서 산세를 보니 마치 학이 나는 형세와 같다 하여 이렇게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무학산의 동쪽 자락에 서원골이 있고, 그곳에 절집이 몇 있습니다. 그 가운데 용주암도 있습니다.


마산 오동동은 지금은 아귀찜 골목으로 유명하지만, 1970~1990년대에만 해도 요정들로 흥청망청했습니다. "오동추야 달이 밝아 오동동이냐 동동주 술타령이 오동동이냐…."로 시작되는 '오동동타령'이란 유행가만 봐도 당시 오동동이 어땠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당시 오동동 요정 주인들이 힘을 모아 용주암을 세웠습니다. 지금은 조계종의 절인데, 오동동 요정 주인들이 절을 지어 조계종에 기증하였습니다.


- 용주암


산신각 쪽에서 내려다본 절의 모습입니다. 바로 아래에 있는 건물이 대웅전입니다.


- 용주암 아미타삼존불


대웅전에 삼존불이 있습니다. 아미타삼존불입니다.


- 아미타불좌상


본존불입니다. 아마타불좌상입니다. 법의는 통견이고, 수인은 아미타인을 하였으며, 결가부좌 자세로 앉았습니다.


- 관음보살좌상


협시보살상입니다. 관음보살좌상입니다. 머리에는 화려한 보관을 썼고, 보관 중앙에 화불이 있습니다. 그리고 양손으로 한 가닥 연꽃 줄기를 들었습니다.


- 대세지보살좌상


다른 협시보살상입니다. 대세지보살좌상입니다. 역시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썼고, 보관 중앙에 정병이 있습니다. 양손으로 한 가닥 연꽃 줄기를 들었는데, 연꽃 줄기를 든 모습이 관음보살좌상과는 서로 반대입니다.


- 용주암 아미타삼존불


이 불상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아는 게 거의 없습니다. 다만 조선 후기에 조성된 목불이라는 것 정도만 알고 있습니다.


- 용주암 앞 계곡


용주암 앞 계곡에는 봄기운이 완연합니다. 겹벚꽃도 활짝 폈고, 간밤에 내린 비로 계곡에 흘러내리는 물도 그 소리가 꽤 우렁찹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 광산사 목조보살좌상  (0) 2016.04.25
창원 법성사 목조보살좌상  (0) 2016.04.22
자장암 관음전의 칼바위  (0) 2016.04.16
통도사 극락보전의 반야용선도  (0) 2016.04.15
통도사 사자목 오층석탑  (0) 2016.04.12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