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실상사 삼층석탑
실상사(實相寺)는 통일신라시대 흥덕왕 3년(828년)에 홍척대사(洪陟大師)가 창건하였습니다. 통일신라시대의 구산선문(九山禪門) 가운데 제일 먼저 문을 열었습니다. 이곳에 절을 세운 것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우리나라의 정기가 일본으로 건너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정유재란 때 남원성이 함락되면서 그때 실상사도 불타버려 폐사되다시피 하였습니다. 이처럼 한때 폐사되다시피한 실상사가 중건된 때는 조선 숙종 16년(1690년)입니다.
이곳 중심법당인 보광전 앞뜰에 동·서로 서 있는 두 탑이 있습니다. 이 두 탑은 규모나 양식, 그리고 보존상태가 거의 같고, 특히 상륜부가 거의 완전하게 남아 있습니다.
- 서탑
탑은 기단부 주위에 넓게 장대석을 둘러 탑구(塔區)를 설정하였습니다.
기단은 이층기단입니다. 하층기단은 지대석 위에 하대저석과 면석을 하나의 돌로 하였고, 그 위에 하대갑석을 두었습니다. 면석에는 모서리기둥과 1개의 가운데기둥을 새겼습니다. 하대갑석은 윗면에 급한 경사를 주었고, 그 가운데에 3단의 호각형(弧角形) 받침을 두었습니다.
- 기단부
상층기단의 면석에는 하층기단과 같이 모서리기둥과 1개의 가운데기둥을 새겼습니다. 상대갑석의 아랫면에는 부연을 두었고, 윗면에는 급한 경사를 주었습니다. 상대갑석 가운데에는 2단의 각형(角形) 몸돌받침을 두었습니다.
- 동탑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따로 되어 있습니다. 몸돌에는 모서리기둥만 새겼을 뿐 다른 장식은 없습니다. 1층 몸돌이 약간 높은 느낌이 드나 상·하의 체감률은 좋은 편입니다.
지붕돌의 처마 밑은 수평이며, 층급받침은 4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낙수면 전각에서의 반전이 강하여 경쾌한 느낌이 듭니다.
- 동탑
상륜부에는 노반, 복발, 앙화, 보륜, 보개가 차례로 놓여 있습니다. 서탑에는 없으나 동탑에는 그 위에 다시 수연이 놓여 있고, 그 위에 동·서탑 모두에서 용차, 보주와 함께 높은 찰주가 있습니다.
실상사 삼층석탑처럼 상륜부가 온전하게 남아 있는 예는 매우 드뭅니다. 불국사 석가탑의 상륜부도 바로 실상사 삼층석탑의 상륜부를 본떠 만들었습니다.
- 실상사 삼층석탑
두 탑은 모두 같은 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입니다.
기단부의 가운데기둥이 1개인 점, 지붕돌의 층급받침이 4단인 점, 기단부 갑석의 윗면에 심한 경사를 둔 점 등을 고려해보면, 이 탑은 홍척대사가 실상사를 창건한 무렵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비 (0) | 2011.10.19 |
---|---|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 (0) | 2011.10.18 |
실상사 철조 여래좌상 (0) | 2011.10.16 |
실상사 석등 (0) | 2011.10.15 |
실상사 돌장승 (0) | 201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