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밀양 영원사지 귀부와 이수

sky_lover_ 2019. 12. 19. 07:48

- 귀부와 이수


밀양 영원사(瑩源寺)는 오래전에 폐사되었습니다. 절터에 한때 김종직(金宗直)을 배향(配享)한 덕성서원(德城書院)이 있었으나지금은 대추나무밭으로 변했습니다.


절터 흔적은 대추나무밭 한쪽에 조금 남아 있습니다. 깨어진 4구의 석불, 부도, 귀부와 이수가 그것입니다. 모두 절터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던 것을 지금 자리로 옮겨왔습니다.


- 부도


부도는 보감국사 부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감국사(寶鑑國師혼구(混丘1251~1322)는 고려 말 충숙왕(忠肅王) 때 왕사와 국사를 지냈습니다. 1315년경부터 영원사에서 몇 해 머물다가 1322년에 칠곡 송림사(松林寺)에서 입적하였습니다.


부도는 부도골에 있었다고 합니다. 부도골은 지금 자리를 지나 골짜기 안쪽으로 좀 더 들어간 곳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부도골 맞은편을 탑골이라 불렀는데, 그곳에 일제강점기 때까지만 해도 탑이 있었다고 합니다. 탑은 그 후에 무너져 있다가 없어졌다고 합니다.


- 인각사 일연 스님 부도


보각국사(普覺國師) 일연(一然, 1206~1289)은 군위 인각사(麟角寺)를 중건하였고, 삼국유사(三國遺事)를 썼습니다. 보감국사는 일연 스님의 제자입니다. 


인각사에 일연 스님 부도가 있습니다. 일연 스님 부도는 고려 말 부도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러면 영원사지 부도는 어떤가요? 일연 스님 부도보다 크고, 더 화려합니다. 영원사지 부도는 일연 스님 부도보다 훨씬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보감국사의 부도로 보기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 석불


석불은 4구가 있습니다. 그 가운데 3구는 부도골로 오르기 전에 있었던 미륵전 자리에 있었다고 합니다. 그곳에 연꽃무늬가 선명한 팔각대좌도 있었다고 합니다.



- 귀부


귀부와 이수는 어디에 있었을까요?



- 석불


귀부와 이수는 석불이 있는 지금 자리(금당 자리로 알려져 있음)의 바로 뒤쪽 은행나무가 있는 곳쯤에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금당 자리 바로 뒤쪽에 있었다고 합니다.


- 귀부와 이수


비는 비신은 없어지고 귀부와 이수만 남았습니다. 귀부는 목을 반듯이 세웠는데, 몸통과의 연결에 있어 다소 부자연스럽습니다.



- 귀부의 발


귀부의 발은 꽤 사실적입니다. 발가락은 3개입니다.



- 귀부 비좌 옆면


비좌 옆면에 구름 문양이 새겨져 있습니다.


- 이수


이수에는 구름 속 용들이 새겨져 있습니다. 그리고 앞면 중앙에 둥근 모양의 제액(題額)이 있습니다.



- 이수의 제액


이 비는 보감국사 묘응탑비(寶鑑國師 妙應塔碑)로 알려져 있습니다. <밀양읍지>에 '영원사 옛터에 고려 시대 이제현(李齊賢)이 쓴 보감국사(寶鑑國師)의 비가 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 기록에 근거해 보감국사 부도비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 보감국사의 부도비인지에 대해서 의문이 듭니다. 


이러한 의문의 근거는 제액에 새겨진 글자입니다. 


제액에 '불전지기'(佛殿之記)란 4글자가 전서체로 음각되어 있습니다. 보감국사의 부도비라면 제액에 보감국사에 대한 글자가 새겨져 있어야 하는데, 엉뚱 맞다 싶게 이렇게 새겨져 있습니다. '불전지기'(佛殿之記)의 '불전'(佛殿)을 보감국사의 법호로 해석하는 이도 있지만, 그냥 불전 즉 법당의 뜻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입니다. 그리고 비가 원래 있었던 곳은 부도가 있었다는 부도골과는 꽤 떨어진 금당 자리 바로 뒤쪽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불전 곧 법당이나 가람을 중창한 내력을 기록한 사적비일 가능성이 더 크지 않을까요?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양 칠산정  (0) 2019.12.22
밀양 칠탄서원  (0) 2019.12.20
밀양 영원사지 석불좌상  (0) 2019.12.17
미얀마의 불교미술  (0) 2019.12.10
창령사 터 오백나한  (0) 2019.12.08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