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산정사 김해 장유 율하에 반룡산공원이 있습니다. 반룡산공원을 지나 반룡산(盤龍山, 화산(華山))을 올라가다 보면, 춘화골(春花谷)에 눈에 띄는 한옥이 있습니다.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재실인 화산정사(華山精舍)입니다. 화산정사는 장유 율하가 내려다보이는 반룡산 중턱에 자리 잡은 남향집입니다. 이 건물은 이음과 맞춤이 치밀하며 마름질과 세부 수법이 우수한 근대 한옥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 이례문 화산정사의 정문인 이례문(以禮門)입니다. 이례문의 '이례(以禮)'는 '예로써 한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예를 중요시한 전주이씨 가문의 가치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화산정사 화산정사는 전주이씨 김해 입향조인 이조참판 소요재(逍遙齋) 이춘흥(李春興)과 그리고 통정대부 이주국(李周國)을 추모하여 세운 재실입니..

- 사의당 영천 성곡리 문화재 이주단지에 오회당(五懷堂) 북쪽에 사의당(四宜堂)이 있습니다. 사의당은 정중호(鄭重鎬), 정중기(鄭重岐), 정중범(鄭重範), 정중락(鄭重洛) 네 형제의 우의를 돈독히 하고 학문 연구와 인재 양성을 위해 세워졌습니다. 건물 구성은 강학 공간인 사의당(四宜堂)과 수의헌(守宜軒) 두 건물과 행랑채, 고방채로 되어 있습니다. - 행랑채 행랑채입니다. - 고방채 사의당은 전체적으로 튼 'ㄷ'자 형태입니다. 행랑채를 들어서면, 고방채와 사의당 측면이 보입니다. 두 건물 사이로 난 통로를 들어서면, 넓은 안마당이 있습니다. 안마당 너머에는 수의헌이 있습니다. - 수의헌 수의헌(守宜軒)은 정면 6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집입니다. 건물의 평면 구성은 왼쪽으로부터 정지 1칸, 온돌..

- 삼휴고택 영천 하천재(夏泉齋) 북쪽에 삼휴고택(三休古宅, 오회공종택(五懷公宗宅))이 있습니다. 삼휴고택은 방형의 토석 담장을 두르고 있고, 정면 좌측에 사주문(四柱門)이 있습니다. 이 문을 들어서면, 마당 오른쪽에 치우쳐 있는 '一' 자형 살림집이 있습니다. 살림집 왼쪽 뒤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사당이 있습니다. 사당은 살림집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습니다. - 삼휴고택 삼휴고택은 정수번(鄭守藩)이 그의 아들 정호신(鄭好信)을 분가시키면서 광해군 12년(1620년)에 지었습니다. 정수번(鄭守藩, 1580~1621)은 자는 정보(貞甫)입니다. 그는 임진왜란 때 영천, 경주 등지에서 큰 공을 세운 정세아(鄭世雅, 1535~1612)의 셋째 아들입니다. 그는 임진왜란 때 부친과 형들이 의병을 일으켜 ..

- 함계정사 경북 영천 연정고택(蓮亭古宅)을 찾아가는 길에 함계정사(涵溪精舍)가 바라보이는 곳에서 잠시 발길을 멈췄습니다. 함계정사 아래 나지막한 언덕이 활짝 핀 배롱나무꽃으로 분홍빛으로 짙게 물들었습니다. 함계정사는 연정고택을 지은 정일릉(鄭一綾)의 할아버지인 정석달(鄭碩達)이 후학을 가르치던 곳으로, 그를 기리기 위해 손자인 정일찬(鄭一鑽)이 지었습니다. - 연정고택 연정고택(蓮亭古宅)은 영천시 임고면 선원리에 있습니다. 연정고택은 본채와 정자로 되어 있습니다. 영조 32년(1756년)에 정일릉(鄭一綾, 1737~1800)이 지었다고 합니다. 본채는 안채, 사랑채, 아래채, 곳간채가 'ㅁ'자 평면을 이루는 서남향 집입니다. - 사랑채 건물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바깥쪽부터 한 번 둘러봅니다. 오른쪽 사..

- 탐진 안씨 종택으로 가는 고샅길 경남 의령군 부림면 입산(立山)마을은 탐진안씨(耽津安氏)의 집성촌입니다. 탐진안씨가 입산마을에 들어온 것은 1600년대입니다. 순흥안씨(順興安氏) 탐진군파(耽津君派) 헌납공(獻納公) 안기종(安起宗, 1556~1633)이 입향조입니다. 안기종은 어려서부터 기골이 장대하고 힘이 세서 책 읽는 것보다 무술을 연마하는 데 힘썼습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이끌고 홍의장군 곽재우 휘하로 들어가 유곡·영천·화왕산성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습니다. 이곳 마을 고샅길을 따라 조금 들어가면... - 대문간채 탐진안씨 종택이 있습니다. 종택은 이 집 종손인 안호종 씨의 고조부 안영제가 1906년 지은 근대식 가옥입니다. 사랑마당으로 들어서기 전에 솟을대문의 대문간채가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