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효재 경남 산청 남사 마을 서쪽의 남사천(南沙川) 가에 사효재(思孝齋)가 있습니다. 사효재는 영모당(永慕堂) 이윤현(李胤玄)의 효심을 기리기 위해 지은 재사(齋舍)입니다. 이윤현(李胤玄)은 숙종 32년(1706년) 18세 때 부친을 모시고 천연두를 피해 산간 마을에 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도적이 들어와 부친을 해치려고 하자, 몸으로 부친을 보호해 겨우 화를 면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온몸에 상처를 입고 이어 병을 얻어 의원을 찾아 약을 구하여 8년을 견디다 숨을 거두었습니다.- 사효재 향나무 사효재 앞마당 한쪽에 오래된 향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사효재 향나무입니다. - 사효재 향나무 사효재 향나무 모습입니다. - 사효재 향나무 향나무 밑동 모습입니다. 줄기가 마치 넝쿨이 감..

- 거성리 향나무 청송군 현동면의 중북부 지역에 거성리(巨城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마을 앞산에 큰 성이 있어 거성(巨城) 또는 거재라고 하였습니다. 자연 마을로는 후동, 간동, 부어터, 신풍, 병보가 있습니다. - 거성리 향나무 후동과 부어터 사이에 간동이 있습니다. 간동 마을 입구 길가에 거성리 향나무가 있습니다. - 거성리 향나무 거성리 향나무 모습입니다. 수형이 무척 아름답습니다. - 거성리 향나무 향나무는 매우 늦게 자라며, 온몸에서 향이 나는 특별한 나무입니다.향나무는 향내가 진하여 근처에만 가도 향내가 코끝에 와 닿으며, 향불을 가까이에서 맡으면 정신이 혼미해질 정도입니다. 그래서 향나무에는 병과 해충이 얼씬대지 않습니다. - 거성리 향나무 향나무는 주목(朱木)과 함께 200만 년 ..

- 장전리 향나무 청송군 안덕면의 남쪽 지역에 장전리(長田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마을에 긴 밭이 있어 진밭 또는 장전(長田)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진'은 '긴'의 경상도 사투리입니다. 자연 마을로는 창말, 삼실, 진밭, 실곡 등이 있습니다. 명당리 안덕파출소에서 안덕교를 지나 장전2리 방면으로 가다 보면, 왼쪽으로 진밭 마을 안쪽에 화지재(花池齋)가 있습니다. 화지재는 영양 남씨(英陽南氏) 입향조인 운강공(雲岡公) 남계조(南繼曺, 1541~1621)의 묘소를 지키기 위해 1629년에 건립된 재사입니다. 남계조의 묘소는 화지재 위쪽 산자락에 있습니다.- 장전리 향나무 화지재 동쪽에 남계조의 묘도비각(墓道碑閣)이 있습니다. 묘도비각 뒤편에 선조의 은덕을 기리기 위해 심은 향나무가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

- 가락동 행정복지센터 향나무 부산시 강서구의 서북단에 죽림동(竹林洞)이 있습니다. 이곳은 북쪽은 식만동, 서쪽은 죽동동, 남쪽은 봉림동과 접해 있습니다. 동쪽으로 서낙동강이 흐르는데, 대부분이 서낙동강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된 평야 지대입니다. 오봉산(五峰山, 45m)을 제외하고는 산지가 거의 없습니다.이곳 지명은 과거 오봉산이 섬이었을 때 대밭이 무성하여 죽도(竹島)라고 한 것에서 유래합니다. 마을은 고정, 용등, 죽림이 있습니다. - 대부교비 죽림 마을 북쪽 가락동 행정복지센터에 비석 2기가 있습니다. 대부교비(大夫橋碑)와 애민선정비(愛民善政碑)입니다. 이 비들은 1994년에 다른 장소에서 가락동 행정복지센터로 옮겨왔습니다. 대부교비(大夫橋碑)는 대부교(大夫橋)가 놓이게 된 내력을 알리기 위하여 세..

- 모암재 청도군 각북면 명대리(明大里)는 남북으로 긴 골짜기에 마을이 위아래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곳은 서쪽 고개 너머에 우산리가 있고, 북쪽으로는 산을 경계로 이서면 칠엽리가 있습니다. 마을 뒷산은 홍두깨산의 한 자락으로 골이 길게 이어져 있고, 마을 앞으로는 청도천이 흐르고 있습니다. 마을은 계명(鷄明), 나부실, 솔동(松洞), 미대(美垈) 마을이 있습니다. 나부실은 마을 뒤 산의 형태가 나비 모양을 닮아서 나부실이라고 하기도 하고, 또 메꽃의 줄기 모양을 하여 나복(蘿葍)이라고도 한다고 합니다. 이곳 골짜기 안쪽에 모암(慕庵) 김극일(金克一)을 모시는 재실인 모암재(慕庵齋)가 있습니다. 모암재는 1860년에 세워졌다고 하며, 김극일의 호를 따서 모암재라 이름 붙였다고 합니다. - 모암재 김극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