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주사 명당탑 운주사의 주산인 거북이산(靈龜山)의 머리 정수리에 해당하는 곳에 독특한 모양의 석탑이 있습니다. 운주사에는 별별 모양이 탑들이 있지만, 그 가운데서도 이 탑은 참 유별나게 생겼습니다. 넓적한 지대석 위에 사각형의 기단부가 단층으로 놓여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그런대로 평범한 모양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탑신부가 다른 곳에서는 보기 어려운 둥근 원반형입니다. 넓고 둥근 돌로 층층이 올려놓았습니다. - 탑신부 보통 탑의 지붕돌 아랫면에 계단 모양의 층급을 두는데, 이 탑에선 그런 층급 대신에 연꽃무늬를 돌아가며 둥그렇게 새겼습니다. 그야말로 지붕돌 하나하나가 활짝 핀 연꽃 송이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 - 명당탑 이 탑에 명당탑이라 이름 붙은 것은 이곳이 명당이라 그런다고 합니다. 명당에..
-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 운주사에는 한때 1,000개의 석탑이 있었다고 전합니다. 지금은 그때보다는 많이 적어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여느 절보다 많은 석탑이 있습니다. 한곳에 이처럼 많은 석탑이 있는 곳은 여기 말고는 없을 것입니다.그런데 운주사 곳곳에 흩어져 있는 많은 석탑은 그 생김새가 다 제각각입니다. 석탑을 만든 석공이 온갖 상상력을 다 동원해 만든 것처럼 말입니다.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도 그런 석탑 가운데 하나입니다. - 기단부 탑은 석조불감 앞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기단부부터 흔히 보는 그런 모양이 아닙니다. 매우 색다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2단의 둥근 바닥돌에 10각으로 높직하게 돌을 짜 올리고, 그 위로 16장의 연꽃잎이 장식된 돌을 올려 마무리하였습니다. -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 탑신..
- 운주사 석조불감(남쪽)앞서 천불천탑의 절, 운주사를 간략하게 소개하였습니다. 이제 운주사에 있는 석불과 석탑에 대해 하나하나 살펴볼까요? 먼저 운주사 이곳저곳에 흩어져 있는 여러 석탑과 석불 가운데 유난히 눈에 띄는 석조 불감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불감(佛龕)이란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든 집이나 방을 뜻합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이 석조 불감은 골짜기 중심부에 있습니다. 그 모양은 팔작지붕을 한 목조 건축물의 형식을 하고 있으며, 그 앞뒤로 석탑 1기씩이 서 있어 야외 불당(佛堂)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남쪽과 북쪽 석불 그러면 석조 불감 내부를 한번 들여다볼까요? 감실을 남북으로 크게 둘로 나누고, 이곳에 석불 2구를 등을 맞댄 형태로 모셨습니다. 이것은 운주사에 들어올 때와 나갈 때 모..
- 운주사 일주문 운주사(雲住寺)는 '천불천탑(千佛千塔)'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그렇지만 정말 1,000개의 불상과 탑이 있는지 일일이 세어보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입니다. 지금은 '천불천탑'의 의미를 단지 불상과 탑이 많다는 것으로 받아들이니까요. '천불천탑'이라는 말도 매력적이지만, '구름이 머무는 절'이라는 절 이름도 멋지지 않나요? 조선 성종 12년(1481년)에 처음 편찬되고 중종 25년(1530년)에 증보된 의 능성현(綾城縣)조에 "운주사는 천불산에 있다. 절 좌우 산마루에 석불과 석탑이 각각 1,000개 있고, 또 석실이 있는데 두 석불은 서로 등을 맞대고 앉아 있다.(雲住寺在天佛山 寺之左右山背石佛石塔各一千 又有石室二石佛相背以坐)"라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기록을 보면 그 당시에는 석불과 석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