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개 창원 학개(鶴浦)는 진해 행암동에서 수치 마을로 넘어가는 고개에서 오른쪽으로 돌아 바다로 가면 있는 작은 포구입니다. 이곳 지명은 천자봉에서 내려다보면 학혈(鶴穴)이 있다는 풍수와 관련된 설과 큰발티의 명당에서 나온 학이 여기에 떨어져 죽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 학개 학개 앞바다입니다. 논란이 있지만, 이 앞바다에서 임진왜란 때 합포해전이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분들은 합포(合浦)가 학개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 학개 회화나무 학개 마을 버스 정류소 옆에 당집이 있습니다. 당집 뒤쪽에 노거수 회화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 학개 회화나무 회화나무 모습입니다. - 회화나무 열매 회화나무는 가지마다 열매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습니다. - 학개 회화나무..

- 월영동 푸조나무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북동쪽 지역에 월영동(月影洞)이 있습니다. 월영동(月影洞)은 1789년에 제작된 에 월영리(月影里)라는 이름으로 등장합니다. 월영동에 있는 월영대(月影臺)가 등에서 최치원의 소유처(所遊處)라 하였습니다. 월영대가 월영리라는 지명에서 비롯된 것인지, 월영대로 인해 월영리라는 마을 이름이 생겨난 것인지 알기 어렵습니다. - 월영동 푸조나무 창원 대곡산과 청량산 사이에 월영동과 예곡동을 잇는 높이 200여m의 만날고개가 있습니다. 만날고개는 마산포에서 감천을 거쳐 함안으로 이어지던 오래된 교통로로서, 이 길을 통해 마산포의 수산물과 내륙의 농산물이 왕래하였습니다. 만날고개 초입에 '지지배배'라는 음식점이 있습니다. 이 음식점 마당에 월영동 푸조나무가 있습니다. - ..

- 백자리 느티나무 청송군 현서면의 중동부 지역에 백자리(栢子里)가 있습니다.이곳은 약 500년 전 경주 김씨(慶州金氏) 성을 가진 사람이 마을을 개척하였으며, 개척 당시 잣나무가 많이 있었으므로 잣나무골, 백자(栢子), 백자곡 등으로 불렀다고 합니다. 자연 마을로는 모래실, 긴골, 잣나무골이 있습니다. - 백자리 느티나무 모래실 마을 입구 도롯가에 백자리 느티나무가 있습니다. 모래실은 100여 년 전에 고성태라는 천주교인이 박해를 피하여 왔으나 학살당하고, 계곡 이름을 세란곡(世亂谷)이라 하였으며, 타인이 모르게 들어온 곳이라 하여 몰래실이라고도 하였습니다. 그 후 모래실((沙谷)로 변하였다고 합니다. - 백자리 느티나무 백자리 느티나무 모습입니다. - 백자리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많은 나이에도 건..

- 덕성리 느티나무 청송군 안덕면의 남서쪽 지역에 덕성리(德城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예전에는 덕제(德堤), 덕재라고 하였으며, 그 후 덕성(德城)으로 바뀌었습니다. 자연 마을로는 사부실, 상김천, 덕재가 있습니다. - 덕성리 느티나무 사부실 마을 앞 개천가에 덕성리 느티나무가 있습니다. - 덕성리 느티나무 덕성리 느티나무 모습입니다. - 덕성리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오랜 세월의 흔적을 말해주듯 온몸이 상처투성이입니다. - 덕성리 느티나무 수령: 250년. 높이: 14m. 가슴높이 둘레: 6m 소재지: 경북 청송군 안덕면 덕성리 508-20. (2024.9.17.)

- 거성리 향나무 청송군 현동면의 중북부 지역에 거성리(巨城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마을 앞산에 큰 성이 있어 거성(巨城) 또는 거재라고 하였습니다. 자연 마을로는 후동, 간동, 부어터, 신풍, 병보가 있습니다. - 거성리 향나무 후동과 부어터 사이에 간동이 있습니다. 간동 마을 입구 길가에 거성리 향나무가 있습니다. - 거성리 향나무 거성리 향나무 모습입니다. 수형이 무척 아름답습니다. - 거성리 향나무 향나무는 매우 늦게 자라며, 온몸에서 향이 나는 특별한 나무입니다.향나무는 향내가 진하여 근처에만 가도 향내가 코끝에 와 닿으며, 향불을 가까이에서 맡으면 정신이 혼미해질 정도입니다. 그래서 향나무에는 병과 해충이 얼씬대지 않습니다. - 거성리 향나무 향나무는 주목(朱木)과 함께 200만 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