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청도 봉기리 삼층석탑

sky_lover_ 2016. 1. 29. 08:13

- 청도 봉기리 삼층석탑


도 풍각초교 옆 길가에 잘 생긴 탑이 있습니다. 봉기리 삼층석탑입니다.


봉기리(鳳岐里)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의 형상이 봉황이 날아가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졌다 합니다. 석탑이 있는 곳은 통일신라시대에 있었던 평지가람 천정사터(天井寺址)로 알려졌습니다. 천정사는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여 세워진 절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신라 법흥왕이 전란을 피해 이 절에서 머무는 동안 전란이 평정되었다고 하여 정전사(停戰寺)라 불리기도 했다고 합니다.


- 봉기리 삼층석탑


탑은 3층 석탑입니다. 원래는 쌍탑이었는데, 동탑은 1930년경에 무너져 없어졌고, 서탑만 남았습니다. 남은 탑은 상륜부는 없어졌지만, 기단부와 탑신부는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 기단부


기단부는 2층 기단입니다.


하층기단은 저석과 면석이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에 하대갑석이 있습니다. 면석에는 면마다 모서리기둥과 2개의 가운데기둥이 있고, 하대갑석의 윗면 가운데에 2단 호각형의 받침이 있어 상층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습니다. 상층기단 면석에는 면마다 모서리기둥과 2개의 가운데기둥이 있고, 그 위에 상대갑석이 있습니다. 상대갑석 아랫면에는 부연이 있습니다.


- 몸돌 받침


상대갑석 윗면 가운데에는 각형 2단의 받침이 있습니다. 받침에는 단정함과 엄정함이 서려 있습니다.


- 탑신부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습니다. 몸돌에는 모서리기둥이 있습니다. 지붕돌 처마선은 수평이고, 낙수면은 전각에서 반전이 있습니다. 지붕돌 아랫면의 층급받침수는 5단입니다.


- 봉기리 삼층석탑


탑은 불국사 석가탑을 닮은 창녕 술정리 동삼층석탑과 그 맥을 같이합니다. 그래서인지 우아하고 아름답습니다. 조성 시기는 8세기 중반으로 추정됩니다.


- 봉기리 삼층석탑


지금 절터에는 집들과 논밭이 들어섰습니다. 하지만 탑은 오늘도 말없이 제자리를 지키고 섰습니다. 멀리 비슬산을 배경으로 덤덤하게 서 있는 그 모습은 잘생긴 젊은이의 모습을 보는 듯합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박물관의 '일본의 고훈문화'  (0) 2016.02.11
합천지역의 석탑  (0) 2016.02.01
청도 신당리 석불  (0) 2016.01.27
청도박물관의 눈에 띄는 전시 유물  (0) 2016.01.25
청도 덕사 동자상  (0) 2016.01.24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