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갈항사터 동·서삼층석탑
우리나라
탑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만한 갈항사터 삼층석탑입니다.
이 탑은 원래 경북 김천시 남면 오봉리에 있는
갈항사(葛項寺)터에 동·서로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탑이 일본으로 반출될 위기에 처하자
1916년에 경복궁으로 옮겨졌고,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습니다.
이 두 탑은 형태가 서로 같은 탑입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부를 세우고, 그 위에 상륜부를 얹었습니다.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탑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두 탑 모두 상륜부는 없어졌고,
서탑의 경우에는 3층 몸돌까지만 남았습니다.
- 갈항사터 동삼층석탑
이 탑은 신라 제35대 경덕왕 17년(758년)에
갈항사에 세워졌습니다.
탑의 발원자는 신라 제38대 원성왕(元聖王)의 어머니인 계오부인(繼烏夫人) 박씨(朴氏)와 그녀의 오라버니,
그리고 그녀의 여동생이었습니다. 그들이 어떤 연유로 탑을 세웠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탑을 세우고 나서 27년이 지난 뒤 계오부인은 황태후가
되었고, 이들 세 사람의 이름이 탑에 새겨졌습니다.
- 동탑 기단부
명문
그와 같은 사실을 알게 된 것은 동탑의 기단부에 새겨진 명문
덕분입니다. 명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두 탑은 천보(天寶) 17년
무술(758년)에 세워졌다. 남자 형제와 두
여자 형제 모두 셋이 업으로 이루었다. 남자 형제는 영묘사(零妙寺)의 언적(言寂)법사이며, 큰누이는 조문황태후(照文皇太后)이시며, 작은누이는
경신태왕(敬信太王)의 이모이다.
(二塔天寶十七年戊戌中立在之/娚姉妹三人業以成在之/娚者零妙寺言寂法師在旀/姉者照文皇太后君妳在旀/妹者敬信太王妳在也)
여기에서
경신태왕(敬信太王)과 조문황태후(照文皇太后)는 원성왕과 그의 어머니를 말합니다. 이 명문에서 원성왕을 왕이라고 기록한 점과
시호(諡號)를 사용하지 않고 경신(敬信)이란 휘(諱)를 사용한 점 등을 보아 원성왕의 재위 기간인 785년에서 798년 사이에 명문이 새겨진
것으로 보입니다.
- 동탑 1층 몸돌과 지붕돌의 못 구멍
이 탑에서는 다른 탑에서는 잘 볼 수 없는 독특한 특징들이
있습니다.
먼저 다른 석탑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못 구멍이 탑 표면 전체에 있습니다. 석탑의
표면에 못 구멍을 뚫는 경우는 지붕돌 모서리에 풍탁을 달기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물론 고선사터 삼층석탑의 1층 몸돌에
금동판 등을 탑에 부착하기
위해 뚫은 것으로 보이는 못 구멍이 있기는 합니다.
그
외에 경주 (전) 인용사터 동·서삼층석탑에서도 석탑 표면에 못 구멍이 있습니다. 이 탑은 8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무너진 채로
오랜 시간이 흘러 부재들이 많이 없어졌습니다. 그렇지만 남아 있는 지붕돌과 1층 몸돌에 못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 동탑 1층 몸돌
그리고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것은 1층 몸돌 면석 가운데가 거칠게 되어 있습니다.
보통 이러한 것은 탑의 노출되지 않는 부위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데, 이처럼 노출부에 있는 것은 매우 이례적입니다.
이것을 두고 일찍이 고유섭 선생은 사천왕상 또는 보살상과 같은 부조상이
원래 이곳에
새겨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이것을 못 구멍과 서로 연관 지어 보면, 다음과 같은 추측이
가능합니다.
원성왕 재위 기간에 갈항사터 쌍탑이 추가로
장식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부조상은 없어지게 되었고, 그 자리에 금동판 등이 부착되었을 것입니다. 그로 말미암아 이곳을 깔끔하게 다듬어야 할
이유가 없어져서 이렇게 남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동탑의 사리장치
갈항사터 삼층석탑의 사리장치입니다.
이 사리장치는 갈항사터에서 경복궁으로 옮기려고 탑을 해체하던 중에 두 탑의 기단부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위 사진은 그때 발견된 동탑의 사리장치입니다.
- 서탑의
사리장치
이 사리장치들은 지금은 대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크게 눈에 띄는 사리장치는 아니지만, 대구박물관을 찾게 되면 한번
눈여겨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갈항사터 삼층석탑도 함께 떠올려 보시길 바랍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고적도보>로 우리 문화재 살펴보기(22): (전) 흥법사터 염거화상탑 (0) | 2014.02.20 |
---|---|
경북대 박물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0) | 2014.02.19 |
대구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 (0) | 2014.02.17 |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 (0) | 2014.02.14 |
송림사 오층전탑의 사리갖춤 (0) | 201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