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반계 마을 앞 삼거리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의 서쪽 지역에 고연리(古蓮里)가 있습니다. 고연리(古蓮里)는 고야동(古也洞)의 '고(古)'와 연답동(蓮畓洞)의 '연(蓮')을 따서 붙인 지명입니다.
이곳은 조선 정조 때 와지리(臥旨里), 입동리(笠洞里), 지소리(紙所里)의 세 마을로 갈라져 있었습니다. 그 후 고종 31년(1894년)에 와지동(臥旨洞), 연답동(蓮沓洞), 관동(冠洞), 고야동(古也洞), 지소동(紙所洞)으로 세분되었습니다. 1911년에 지소동은 반계동(盤溪洞)으로 지명이 바뀌었습니다.
지소동(紙所洞)이란 지명은 조선시대에 있었던 지소(紙所)에서 유래합니다. 지소는 종이를 제작하는 곳을 말합니다. 울산도호부(蔚山都護府)에 도호부가 관리하는 웅하면(熊下面) 지소와 좌병영(左兵營)이 관리하는 대안(大安) 지소가 있었습니다. 여기의 웅하면 지소가 바로 반계의 지소입니다. 대대리(大垈里)와 저리(楮里)의 닥나무를 여기에 가져와 종이를 제작했다고 합니다.
- 반계 마을
반계 마을은 정족산(鼎足山)의 동쪽 자락에 있습니다. 동학 창시자인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가 처가 마을인 이곳에서 행상인으로 10여 년간 살았다고 합니다.
이 마을은 김해 김씨(金海金氏) 세거지로, 10여 가구가 살고 있습니다. '반계(盤溪)'라는 이름은 운흥사(雲興寺) 터가 있는 정족산에서 마을로 흘러내리는 시냇가에 반석 같은 바위가 많아서 붙여졌다고 합니다.
- 반계 마을
반계 마을은 높은 산을 배후로 하여 앞으로는 너른 들이 펼쳐진 형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운흥사 터 부근에서 발원한 지류가 골짜기를 타고 반계 마을 쪽으로 흐르다 고연천에 합류하고, 다시 곡천천으로 이어져 회야강과 만납니다.
- 애향시비
반계 마을 입구 길가에 다음과 같은 내용의 애향시비가 있습니다.
盤溪(반계)마을
愛鄕詩(애향시)
千聖山(천성산) 精氣(정기)어린
嶺南(영남)의 雲興洞天(운흥동천)
千年寺址(천년사지) 유서깊은
仙人山房(선인산방) 盤溪(반계)로다
山紫水明(산자수명) 좋은 風光(풍광)
人性(인성) 또한 순박하여
根源(근원)이 悠久(유구)한데
子孫萬代(자손만대) 永遠(영원)하라
- 마을 위쪽에서 바라본 반계 마을
반계 마을을 지나 골짜기 안으로 들어가면, 골짜기 깊은 곳에 신라 때 창건되었다는 천년고찰 운흥사(雲興寺) 절터가 있습니다.
- 고연리 갈참나무
반계 마을 입구 정자 옆에 키 큰 갈참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고연리 갈참나무입니다.
갈참나무는 참나무(상수리나무)의 일종입니다. 떡갈나무나 갈참나무를 옛말로 '가랍나모'라고 하였습니다. 이 나무의 잎은 크고 넓어서 단옷날에 쌀떡을 싸서 쪘습니다. 이는 계절 민속식으로, 이 떡을 '가랍떡'이라 하였습니다.
- 고연리 갈참나무
'저력지재(樗檪之材)'라는 고사성어(故事成語)가 있습니다.
'가죽나무와 참나무 재목'이란 뜻으로, 아무 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옛날 학자들이 스스로 재주가 없음을 말할 때 쓰는 일종의 겸손한 말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장자(莊子)>에서 유래하는데, 뛰어난 목수인 장석(匠石)의 일화를 통해 고사성어 속의 참나무가 소개됩니다.
장석이 제자들과 함께 제나라로 가다가 곡원(曲轅)에 이르러 사당 앞에 서 있는 거대한 참나무를 만났다. 장석이 그냥 지나치자, 나무를 실컷 구경하고 난 제자들이 이렇게 좋은 나무를 왜 거들떠보지도 않으냐고 묻는다. 이때 장석은 "그만두어라. 더 말하지 말라, 쓸데없는 나무다. 그것으로 배를 만들면 가라앉을 것이고, 관을 만들면 쉬 썩을 것이며, 그릇으로 만들면 속히 깨질 것이고, 문을 만들면 진이 흐를 것이며, 기둥을 만들면 좀이 먹을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재목이 될 수 없는 나무다. 아무 쓸데가 없어서 이렇게 수명이 긴 것이란다."라고 대답한다.
- 고연리 갈참나무
조선 중기의 문신인 상촌(象村) 신흠(申欽, 1566~1628)은 뛰어난 글재주와 경륜으로 정승의 반열에 오른 인물입니다.
그는 임진왜란과 인조반정 등의 역사의 소용돌이를 헤쳐 나가면서 쓸모없는 나무가 천수를 누린다는 <장자>의 교훈을 잊지 않으며 살았던 듯합니다. 그의 시 하나를 소개합니다.
올해 쉰여섯이다. 거울을 보며 실없이 짓다 / 今年五十六矣 臨鏡戱書
거울 보며 늙었다고 싫어하지 말게나 / 臨鏡休嫌老
인생살이 늙어가기도 어려운 일이거니 / 人生老亦難
눈 밝아서 아직은 글자도 알아보고 / 眼明猶識字
이 빠져도 충분히 먹을 수 있네. / 齒落尙能餐
세상살이, 서툰 재주에 까치집에 사는
비둘기처럼 편안하고 / 涉世安鳩拙
몸가짐은 상수리나무의 천수 누림을 본받는다네. / 將身效檪完
남은 삶은 양생법을 참고하여 / 殘年參內景
대환이라는 단약을 곧 얻으리. / 已得大還丹
- 멀리서 바라본 고연리 갈참나무
수령: 400년. 높이: 19m. 가슴높이 둘레: 4.2m.
소재지: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 고연리 1570.
(2023.12.10.)
* 글의 일부는 권경인의 <옛글의 나무를 찾아서>를 참고하였습니다.
'노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울주군 화정리 반송 (1) | 2023.12.19 |
---|---|
울산 울주군 남창리 팽나무 (0) | 2023.12.18 |
거제 유계리 느티나무(할매나무) (0) | 2023.12.16 |
거제 유계리 느티나무(할배나무) (0) | 2023.12.15 |
거제 명동리 은행나무 (0)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