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노거수

창원시 진해구 노거수

sky_lover_ 2022. 10. 5. 06:57

- 풍호동 소나무

 

진해구(鎭海區)는 이전에 진해시(鎭海市)였습니다. 2010년 7월 1일에 창원시(昌原市)로 통합되면서 진해구로 변경되었습니다. '진해'(鎭海)는 바다를 지키는 진(鎭)에서 유래된 지명입니다.

 

풍호동 소나무는 진해구청에 있습니다. 이 소나무는 2004년에 진해시청이 부흥동(復興洞)에서 풍호동(豊湖洞)으로 이전하면서 같이 옮겨왔습니다. 나무 높이는 약 10m, 가슴높이 둘레는 약 1.8m입니다. 수령은 약 310년입니다.

 

- 밑동

 

나무는 뿌리 부분에서부터 줄기가 왼쪽으로 꼬여 있습니다. 그 모양이 마치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듯합니다.

 

- 안골동 팽나무

 

안골동(安骨洞)은 진해구의 동남쪽 지역에 있습니다. 이곳을 안골포(安骨浦)라 하였는데, 바다에서 보았을 때 안쪽이 깊은 산골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입니다.

 

이곳은 완벽한 원형으로 쑥 들어온 만을 지칭하는 코브(cove)라는 용어가 어울리는 곳입니다. 만의 입구는 좁고 안은 넓은 원형으로, 바다가 매우 잔잔합니다. 이런 이유로 과거부터 천혜의 해상 기지로 사용되었을 것입니다.

 

- 안골동 팽나무

 

안골동 팽나무는 안골포 굴강의 맨 안쪽에 해당하는 곳에 있습니다. 나무 높이는 약 12m, 가슴높이 둘레는 약 3.5m입니다. 수령은 약 380년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지금 이곳은 매립되어 육지지만, 예전에는 이 앞은 모두 바다였을 것입니다. 안골동 팽나무는 옛 안골동 해안 지형과 굴강의 크기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마천동 팽나무

 

마천동(馬川洞)은 마봉산 서쪽 기슭으로 흐르는 '말내'(馬川)의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입니다.

 

마천동 팽나무가 있는 곳은 진해구 마천동 49-17번지입니다. 이곳은 큰길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산자락 끝부분으로, 나무 앞에 인천이공휘임박유적비(仁川李公諱琳珀遺蹟碑)가 있습니다.

 

나무 높이는 약 14m, 가슴높이 둘레는 약 4.9m입니다. 수령은 약 220년입니다.

 

- 소사동 푸조나무

 

소사동(所沙洞)은 마천동(馬川洞) 서쪽의 '말내'(馬川) 건너 벌판에 사람이 살게 되면서 형성된 마을입니다. 김달진 문학관과 김달진 생가가 있어 유명해진 마을이기도 합니다.

 

소사동 푸조나무는 김달진 문학관 옆에 있습니다. 나무 높이는 약 20m, 가슴높이 둘레는 약 4m입니다. 수령은 약 400년입니다.

 

- 밑동

 

소사동 푸조나무는 마을 길 보다 1.2m 정도 높은 곳에 뿌리를 내리고 있습니다. 줄기 아랫부분은 울퉁불퉁한 혹이 발달해 있고, 외과 수술을 받은 부분은 개구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 대장동 성흥사 느티나무

 

진해 성흥사(聖興寺)는 팔판산 남쪽 자락에 있습니다. 통일 신라 흥덕왕 때 무염국사가 창궐하는 왜구를 물리칠 것을 기원하며 세웠다고 합니다.

 

성흥사 느티나무는 절 서쪽 담장 밖 계곡 부근에 있습니다.

 

- 대장동 성흥사 느티나무(2017.12.3.)

 

겨울날 성흥사 느티나무 모습입니다.

 

나무 높이는 약 17m, 가슴높이 둘레는 약 5.4m입니다. 수령은 약 220년입니다.

 

- 대장동 쌍수 느티나무

 

성흥사 남쪽에 대장(大壯)마을이 있습니다. 마을 남쪽 들판에 두 그루 느티나무가 서로 마주 보고 있습니다.

 

이처럼 마을 입구에 좌우로 나무를 심었다면, 보통 왼쪽은 할배나무, 오른쪽은 할매나무를 뜻합니다. 

 

- 대장동 할배 느티나무

 

대장동 할배 느티나무는 두 느티나무 가운데 서쪽에 있는 나무입니다. 나무 높이는 약 18m, 가슴높이 둘레는 약 4m입니다. 수령은 약 250년입니다.

 

- 대장동 할매 느티나무

 

대장동 할매 느티나무는 대장동 할배 느티나무 맞은편에 있습니다.

 

나무 높이는 약 17m, 가슴높이 둘레는 약 4.6m입니다. 수령은 약 230년입니다.

 

- 남문동 사도마을 회화나무

 

남문동(南門洞)은 웅천 읍성의 남문 밖에 마을이 이루어지면서 처음에 '남문 밖'이라고 하였다가 남문리(南門里)가 된 것에서 지명이 유래된 것으로 보입니다.

 

1910년에 와성((臥城)마을과 사도(沙道)마을이 통합되어 법정동이 되었고, 1973년에 진해시에 편입되면서 남문동으로 개칭되었습니다.

 

이곳 사도마을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가 있습니다. 회화나무가 있는 곳은 진해구 남문동 1284번지입니다.

 

- 남문동 사도마을 회화나무

 

상전벽해(桑田碧海)... 지금 사도(沙道)마을은 아파트 단지로 변했습니다.

 

사도마을 회화나무 가운데 가장 굵은 회화나무는 높이가 약 18m, 가슴높이 둘레는 약 3.6m입니다. 수령은 약 300년입니다.

 

- 성내동 웅천고 느티나무

 

성내동(城內洞)은 웅천 읍성 안에 마을이 이루어지면서 붙여진 지명입니다.

 

이곳 웅천 읍성 안에 두 그루 느티나무가 마주 보고 있습니다. 한 그루는 웅천고등학교에 있고, 다른 한 그루는 곰내유치원에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웅천고 느티나무의 오른편 뒤쪽에 보이는 나무가 곰내유치원에 있는 느티나무입니다.

 

- 성내동 웅천고 느티나무와 곰솔

 

웅천고 느티나무는 높이가 약 20m, 가슴높이 둘레는 약 6m입니다. 수령은 약 280년입니다.

 

웅천고 느티나무 바로 옆에 곰솔 한 그루가 있습니다. 나무 높이는 약 20m, 가슴높이 둘레는 약 2m입니다. 수령은 약 200년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곰솔은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옛날에 효수한 사람의 목을 매달아 둔 나무라 하여 효수송(梟首松)이라고도 합니다.

 

- 성내동 곰내유치원 느티나무

 

곰내유치원에 있는 느티나무입니다.

 

나무 높이는 약 20m, 가슴높이 둘레는 약 6.5m입니다. 수령은 약 280년입니다.

 

- 제덕동 괴정마을 회화나무

 

제덕동(齊德洞)은 주위에 냉이가 많았다고 하여 냉이개(內而浦, 薺浦)라 하였습니다.

 

조선 시대에 이곳에 수군진(水軍鎭)이 있었습니다. 수군진이 있던 곳은 '안지개'라 하였고, 왜에 개항해준 곳은 '바깥지개'라 하였습니다. 바깥지개에 선창이 있어 선창리(船倉里)라고도 하였습니다.

 

지금의 괴정(槐井)마을은 바깥지개입니다. 제덕동 괴정마을 회화나무는 마을 입구 마을회관 부근에 있습니다.

 

- 제덕동 제덕마을 팽나무

 

제덕(薺德)마을은 안진개입니다. 조선 시대에 수군진이 있던 곳입니다.

 

제덕동 팽나무는 제덕마을 남쪽 언덕바지에 있습니다. 나무 높이는 약 17m, 가슴높이 둘레는 약 4.5m입니다. 수령은 약 250년입니다.

 

- 제덕동 제덕마을 팽나무(2022.2.6.)

 

겨울날 제덕동 팽나무 모습입니다. 지금 가을날 나무와는 사뭇 느낌이 다릅니다. 다 계절 때문이겠지요.

 

이것으로 창원시 노거수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노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해시 노거수 2  (0) 2022.10.12
김해시 노거수 1  (2) 2022.10.08
김해 산해정과 싸띠아라마 노거수  (0) 2022.10.03
김해 관천재와 배롱나무  (0) 2022.10.02
창원시 마산회원구 지역 노거수  (0) 2022.09.30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