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기읍성 내에 있는 장기향교 포항시 남쪽 지역에 장기면(長鬐面)이 있습니다. 이곳은 본래 신라의 지답현(只畓縣)이었는데, 경덕왕 때 기립현(垢立縣)으로 고쳐 의창현(義昌縣)의 영현(領縣)으로 삼았습니다. 그 후 고려 때 장기현(長鬐縣)으로 이름을 고쳐 경주의 속읍(屬邑)으로 삼았습니다. 장기면의 중심지는 읍내리입니다. 이곳 장기읍성(長鬐邑城) 내에 장기향교(長鬐鄕校)가 있습니다. - 외삼문 장기향교는 태조 5년(1396년)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이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그 후 임진왜란 중에 소실되었으며, 임진왜란 후인 선조 33년(1600년)에 중건이 이루어졌습니다. 영조 1년(1725년)에 현감 황익진(黃益鎭)에 의해 지금의 마현동(馬峴洞, 지금 장기초등학교 동편)으로 옮겨졌다고 합니다..

- 초계향교 합천군 초계면 초계리에 초계향교(草溪鄕校)가 있습니다. 초계향교는 고려 충숙왕 때 세워졌다고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습니다. 1530년에 편찬된 에 '향교가 초계군 관아에서 2리 떨어져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향교가 전국적으로 세워지던 태종, 세종 연간에 확대 개편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후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훼손되어 인조 6년(1628년)에 다시 세워졌고, 1800년대 초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습니다. 1832년경 발간된 에 '향교는 군의 북쪽 1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이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 초계향교 배치도 초계향교는 폭이 좁고 긴 급경사 지대에 3단으로 터를 만들어 건물을 배치하였습니다. 앞쪽에는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생활 공간인 동재와 서재가 있고, 뒤쪽에는 제..

- 유래루 경북 영천시 교촌동(校村洞) 마현산(馬峴山) 비탈에 영천향교가 있습니다. 영천향교가 있는 곳은 북쪽에는 마현산이 병풍처럼 버티고 있고, 남쪽에는 금호강(琴湖江)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곳은 배산임수(背山臨水)의 명당에 해당합니다. 이곳 지명이 교촌동인 것은 이곳에 향교가 있기 때문입니다. - 배치도 향교는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해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조선 시대에 세워졌습니다. 영천향교는 건물 배치가 전학후묘(前學後廟)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대성전, 동무, 서무, 전사청(典祀廳), 내삼문(內三門), 명륜당, 동재, 서재, 외삼문(外三門)인 유래루(牖來樓), 삼일재(三一齋) 등의 건물이 있습니다. - 유래루에서 바라본 영천 시내 유래루에서 바라본 영천 시내입니다. ..

- 내삼문 향교(鄕校)는 크게 제례 영역과 강학 영역으로 나누어집니다. 제례 영역의 중심 건물은 대성전(大成殿)이고, 강학 영역의 중심 건물은 명륜당(明倫堂)입니다. 밀양향교의 제례 영역에서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것은 내삼문(內三門)입니다. 내삼문은 정면 9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 대성전 내삼문을 들어서면, 엄숙한 느낌을 주는 건물을 마주합니다. 대성전입니다. 대성전은 공자(孔子)와 그리고 4성(四聖: 안자, 증자, 자사, 맹자), 송조6현(宋朝六賢) 가운데 2현(賢), 신라조(新羅朝) 2현(賢), 고려조(高麗朝) 2현(賢)의 위패를 모시고 있습니다. - 동무 대성전 앞쪽에 동서로 두 건물이 있습니다. 동무(東廡)와... -서무 서무(西廡)입니다. 동·서 양무(兩廡)는 정면 3칸, 측면 ..

- 홍살문 밀양향교(密陽鄕校)를 찾아갑니다. 밀성손씨(密城孫氏) 집성촌인 밀양 교동(校洞)마을의 위쪽 막다른 골목에 밀양향교로 들어가는 홍살문이 있습니다. 그 조금 안쪽에 솟을대문이 있습니다. 밀양향교는 창건에 대한 정확한 연대는 미상이나 문헌을 통해 보면 고려 중기인 인종 때(1122~1146년)에 설치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주향교, 진주향교와 함께 영남 지방을 대표할 정도로 규모가 컸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선조 35년(1602년)에 부사(府使) 최기(崔沂)가 중창하였고, 순조 20년(1820년)에 부사 이현시(李玄始)가 지금의 위치로 문묘를 옮겨 세웠습니다. - 솟을대문 솟을대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가운데 1칸에만 출입문이 있습니다. - 풍화루 솟을대문을 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