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밀양 밀양향교

sky_lover_ 2021. 1. 5. 06:31

- 홍살문

 

밀양향교(密陽鄕校)를 찾아갑니다. 밀성손씨(密城孫氏) 집성촌인 밀양 교동(校洞)마을의 위쪽 막다른 골목에 밀양향교로 들어가는 홍살문이 있습니다. 그 조금 안쪽에 솟을대문이 있습니다.

 

밀양향교는 창건에 대한 정확한 연대는 미상이나 문헌을 통해 보면 고려 중기인 인종 때(1122~1146년)에 설치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주향교, 진주향교와 함께 영남 지방을 대표할 정도로 규모가 컸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선조 35년(1602년)에 부사(府使) 최기(崔沂)가 중창하였고, 순조 20년(1820년)에 부사 이현시(李玄始)가 지금의 위치로 문묘를 옮겨 세웠습니다.

 

- 솟을대문

 

솟을대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가운데 1칸에만 출입문이 있습니다.

 

- 풍화루

 

솟을대문을 지나 안으로 들어가면 풍화루(風化樓)가 있습니다.

 

풍화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2층 누각입니다. 1칸 출입문이 아래층 가운데에 있습니다. 위층 누마루에 계자각 난간(鷄子脚欄干)이 있습니다.

 

- 풍화루

 

밀양향교는 제례 영역인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 서무(西廡), 내삼문(內三門)과 강학 영역인 명륜당(明倫堂), 동재(東齋), 서재(西齋), 풍화루(風化樓)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 배치도(①:대성전 ②:동무 ③:서무 ④:내삼문 ⑤:명륜당 ⑥:동재 ⑦서재 ⑧:풍화루)

 

건물 배치는 경사지에 이축선(二軸線) 병렬형 배치입니다. 향교는 일반적으로 강학 영역을 앞쪽에, 제례 영역을 뒤쪽에 두는데, 밀양향교는 두 영역을 나란히 배치해 놓았습니다. 강학 영역이 우측에 있음으로 좌묘우학(左廟右學)형 배치라 할 수 있습니다.

제례 영역의 중심축과 강학 영역의 중심축이 완전하게 평행하지는 않지만, 대성전과 내삼문을 잇는 중심축에 양무(兩)가 대칭으로 배치되었고, 명륜당과 풍화루를 잇는 중심축에 양재(兩齋)가 대칭으로 배치되었습니다.

 

- 풍화루

 

풍화루를 지나면 명륜당 앞마당입니다.

 

- 나무 계단

 

2층 누마루로 오르는 나무 계단입니다.

 

- 나무 계단

 

나무 계단을 통해 누마루에 오르면...

 

- 풍화루에서 내려다본 교동마을

 

교동마을이 내려다보이고...

 

- 장식

 

위쪽으로 쳐다보면... 꽃봉오리가 여러 개 달린 꽃가지가 꽂힌 꽃병 장식도 있고...

 

- 용 문양

 

용의 모습을 한 장식도 있습니다.

 

- 풍화루에서 바라본 명륜당 앞마당

 

그리고 난간 너머로 명륜당 앞마당도 내려다보입니다.

 

- 명륜당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양 협칸은 1칸 방으로 되어 있고, 가운데 3칸은 넓고 전망이 좋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습니다.

 

- 명륜당

 

돌계단을 딛고 올라서면...

 

- 현판

 

'명륜당'(明倫堂)이라고 쓴 현판이 건물 뒤쪽 벽 위쪽에 걸려 있습니다.

 

- 정료대

 

돌계단 양쪽에 정료대(庭燎臺)가 하나씩 있습니다.

 

- 동재

 

동재와 서재는 정면 6칸, 측면 2칸의 민도리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 서재

 

동재와 서재는 명륜당 쪽에서부터 방 1칸, 마루 2칸, 방 2칸, 툇마루로 되어 있습니다.

 

- 서재

 

 동재와 서재의 남쪽 측면에 툇마루를 두고, 상부에 따로 눈썹지붕을 설치하였습니다.

 

- 서재

 

서재의 뒷모습입니다.

 

- 은행나무

 

대성전 입구에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 대성전의 내삼문

 

대성전의 내삼문입니다. 내삼문은 정면 9칸, 측면 1칸의 민도리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그리고 동무와 서무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대성전에는 공자(孔子)를 주향(主享)하고, 4성(四聖: 안자, 증자, 자사, 맹자)과 송조6현(宋朝六賢) 가운데 2위(位), 신라(新羅) 2위(位), 고려(高麗) 2위(位)를 배향(配享)하고, 동·서 양무(兩)에는 조선(朝鮮)의 14위(位)를 봉안하여, 봄·가을로 석전(釋奠: 공자 제사)을 봉행하고 있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양 죽원재사  (2) 2021.01.07
밀양 혜산서원  (0) 2021.01.06
거제 오량성  (0) 2021.01.04
울산 석계서원  (0) 2020.12.22
울산 경숙옹주 태실 및 비  (0) 2020.12.21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