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계동 푸조나무 김해 무계동(茂溪洞)은 남해제2고속도로 장유IC 동쪽에 있습니다. 이곳은 본래 장유면(長有面)에 속하던 곳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광석암(廣石岩)을 병합하여 무계리(茂溪里)가 되었고, 그 후 무계동(茂溪洞)이 되었습니다. 무계(茂溪)라는 지명은 이 지역에 대청천(大淸川)과 핏내(稷川) 등 개울이 많은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합니다. 자연 마을로는 무계(茂溪), 광석(廣石) 등이 있습니다. - 무계동 푸조나무 장유IC 부근 광석 마을에 무계동 푸조나무가 있습니다. - 무계동 푸조나무 무계동 푸조나무 모습입니다. - 무계동 푸조나무 남부지방에서 팽나무인 것도 같고 아닌 것도 같은 나무를 만난다면 그건 푸조나무일 가능성이 큽니다. 푸조나무는 팽나무와 닮았다고 해서 개팽나무라고도 ..

- 장재동 푸조나무 경남 진주 장대산(將臺山) 남쪽 지역에 장재동(長在洞)이 있습니다. 이곳은 서쪽으로 비교적 고도가 높은 구릉지를 이루고, 남북으로 좁은 들판이 있습니다. 장재동은 본래 진주군 장재곡면(長在谷面) 지역입니다. 장재못이 있었다고 하여 '장재골', '장재곡', '장재실'이라 하였습니다. - 장재동 푸조나무 이곳 골짜기에 장재동 푸조나무가 있습니다. - 장재동 푸조나무 장재동 푸조나무 모습입니다. - 장재동 푸조나무 푸조나무 밑동 모습입니다. - 장재동 푸조나무 푸조나무는 밑동에서부터 줄기가 셋으로 나뉘어져 위로 뻗어 자랐습니다. - 장재동 푸조나무 푸조나무 아래에 우물이 있습니다. - 장재동 푸조나무 남부 지방에서 있는 나무 가운데 팽나무인 것도 같고 아닌 것도 같은 나무가 있습니..

- 삼락리 푸조나무 경남 고성군 마암면(馬岩面)의 남쪽 지역에 삼락리(三樂里)가 있습니다. 삼락리는 임진왜란 때 안동 김씨(安東金氏)와 연일 정씨(延日鄭氏)가 살면서 삼신락정(三神樂亭)이라는 정자나무를 신봉하여 당산제를 지냈습니다. 삼신(三神)은 산신(山神), 수신(水神), 목신(木神)을 말합니다. 이곳 지명은 삼신의 은덕으로 마을이 평화롭고 안가태평(安家太平)하게 살 수 있다고 믿어, 삼신(三神)의 '삼(三)' 자와 락정(樂亭)의 '락(樂)' 자를 따서 삼락(三樂)이라 하였습니다. 마을은 평부(平釜)와 곤기(昆基)가 있습니다. - 삼락리 푸조나무 평부(平釜) 마을 입구 도롯가에 삼락리 푸조나무가 있습니다. 삼락리 푸조나무는 삼신(三神) 당산나무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당항포 해전을 치르면..

-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부산 수영사적공원(水營史蹟公園) 안에 오래된 푸조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좌수영성지(左水營城址) 푸조나무입니다. -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모습입니다. 이 나무는 천연기념물 제31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푸조나무는 밑동 1m 정도의 높이에서 두 갈래로 크게 나뉘어져 있습니다. 북쪽 것을 할아버지 나무, 남쪽 것을 할머니 나무라 하여 노부부목(老夫婦木)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나무 밑동에 혹처럼 생긴 옹두리가 여럿 있습니다. 이것은 나무 나이가 만만치 않음을 보여줍니다. -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좌수영성지 푸조나무는 마을의 안녕과 건강을 지켜주는 당산목(堂山木)입니다. 신(神)이 깃든 지신목(地神木)이라고 하기..

- 제말 장군의 무덤에서 바라본 다구리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의 남동쪽 지역에 다구리(多求里)가 있습니다. 이곳은 앞으로는 바다가 있고 뒤로는 산이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형의 마을입니다. 자연 마을로는 다구(하구지), 도만이 있습니다. 다구 마을 뒤편 산 능선에 임진왜란 때 의병장인 제말(諸沫) 장군의 무덤이 있습니다. 제말 장군의 무덤에서 바라본 다구(多求) 마을 모습입니다. 마을 앞바다에 죽도가 있고, 논밭을 등 뒤로 둔 채 마을이 바다를 향해 몸을 낮게 엎드려 있습니다. - 제말 장군의 무덤 제말 장군의 무덤입니다. 제말 장군은 임진왜란 때 왜적과 맞서 싸우다가 성주 전투에서 전사하였습니다. 당시 바다에는 이순신(李舜臣), 내륙에는 곽재우(郭再祐), 제말(諸沫)이라 하였습니다. 장군은 날아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