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출허 樂出虛
- 부여 정림사지 석불좌상 부여 정림사터(定林寺址)는 백제시대 절터입니다. 1942년 발굴조사 때 강당 자리에서 '태평팔년무진정림사대장당초(太平八年戊辰定林寺大藏當草)'라는 명문이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어 당시 절 이름이 정림사였고, 고려 현종 19년(1028년)에 중건되었음이 밝혀졌..
- 익산 고도리 석불입상 익산 금마면사무소와 왕궁리 오층석탑 사이 들판에 석상 2기가 있습니다. 고도리 석불입상입니다. 두 석상은 옥룡천(玉龍川)을 사이에 두고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거리에서 서로 마주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생겨난 전설이겠지만, 서쪽의 석상은 남자이고 동쪽의 ..
- 익산 태봉사 삼존석불 익산 연동리 석불이 있는 석불사에서 북쪽으로 900m쯤 되는 곳에 태봉사(胎峰寺)가 있습니다. 이곳 대웅전에 백제 때 것으로 알려진 석불이 있습니다. 옛날에 한 여인이 3대 독자인 아들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기도를 하다가 산신의 현몽으로 석불을 발견하여 그..
-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익산 미륵사지(彌勒寺址)에서 서북쪽으로 2.9km쯤 떨어진 삼기면 연동리 석불사거리 일대는 절터입니다. 연동리사지(蓮洞里寺址)입니다. 절은 600년경에 창건되어 12~13세기경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지금 절터에는 석불사와 석불초등학교, 그리고..
- 밀양 무봉사 석조약사여래좌상 밀양 무봉사(舞鳳寺)는 영남루 바로 옆에 있습니다. 영남사의 부속암자로 창건되었다고 전하며, 통일신라시대 석불인 무봉사 석조여래좌상으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이곳에 또 다른 석불이 있습니다. 석조약사여래좌상이 그것입니다. 예전에는 눈에 잘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