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합천 대지리사지 삼층석탑
합천 옥전고분군 옆에 합천박물관이 있습니다. 이곳 야외에 예쁘장한 탑이 있습니다. 합천 대지리사지 삼층석탑입니다.
대지리사지(大枝里寺址)는 합천 대병면 대지리에 있는데, 월여산(月如山) 동쪽 능선의 산 중턱에 있습니다. 절터가 있는 일대는 조선 초기 태조 이성계의 왕사를 지낸 무학대사의 유허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 절은 고려시대 전기부터 조선시대 후기까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사나사(舍那寺)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대지리사지 삼층석탑
<여지집성(輿地集成)>, <삼가현읍지(三嘉縣邑誌)> 사찰편에 '사나사재황매산무학소창(舍那寺在黃梅山舞鶴所創)'이라 하여 무학대사가 창건했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대지리사지가 무학대사와 관련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학대사 출생지로 고증된 대지리 마을도 매우 신빙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탑은 절터를 발굴 조사하던 중 금당터 앞뜰의 괘불지주 남쪽에서 무너진 상태로 발견되었습니다. 탑재 가운데 기단부 일부와 1층 몸돌, 상륜부가 소실되어 새 탑재로 보충하여 이전 복원하였습니다. 조성시기는 고려시대 후기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기단부
기단부는 이층기단입니다.
- 기단부
그런데 지대석과 하층기단, 그리고 상층기단 면석이 한 돌로 되어 있습니다.
- 기단부
지대석 위쪽에 1단 괴임이 있고, 하층기단 면석에는 면마다 1쌍의 안상무늬가 있습니다. 그리고 상층기단 면석에는 면마다 모서리기둥과 1개의 가운데기둥이 있습니다.
- 하층기단 면석의 안상무늬
하층기단 면석의 안상무늬입니다. 안상무늬 안에 귀꽃이 있습니다. 이런 형태는 주로 고려시대 석탑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지붕돌
탑신부 지붕돌은 아랫면을 비스듬히 깎아내린 후 3단의 층급받침을 두었습니다.
- 지붕돌
지붕돌 윗면에는 괴임이 없고, 위층 몸돌이 바로 끼워질 수 있게 홈을 두었습니다. 그리고 2층과 3층 몸돌 면석에는 눈에 보일 듯 말 듯한 가는 모서리기둥이 있습니다.
- 대지리사지 삼층석탑
탑의 상대갑석, 1층 몸돌, 상륜부는 새로 만들어 보충한 탑재입니다. 상대갑석은 그런대로 그렇다 치고, 1층 몸돌은 좀 더 크게
만들고 모서리기둥도 위층 몸돌과 같이 가늘게 해야 했습니다. 그랬다면 지금 모습보다는 훨씬 균형 잡힌 모습이 되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상륜부는 왜 저런 모습으로 만들었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암사지에서 만난 사자상들... (0) | 2017.03.18 |
---|---|
독락당 안을 들여다보다. (0) | 2017.03.09 |
합천 오도리사지 석불 (0) | 2017.03.06 |
영천 남강정사 (0) | 2017.02.28 |
경주 옥산리사지 부도 (0) | 2017.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