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sky_lover_ 2016. 10. 18. 08:27

-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주 용암사
(龍岩寺) 마당을 지나 산길을 조금 오르면 작은 산기슭에 소나무를 구름처럼 두르고 마애불이 있습니다.


마애불은 두 불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용미리 쌍미륵석불'이라고도 합니다. 신체의 비례가 다소 조화를 이루지 못했지만, 워낙 당당하고 거대해서 엄청난 힘을 느끼게 합니다.


-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마애불은 거대한 바위를 다듬어 몸체를 새겼고, 그 위에는 목과 머리, 갓을 따로 만들어 올렸습니다.


한 불상은 목이 원통형이고, 가슴 앞에서 두 손으로 한 송이 연꽃 가지를 쥐었으며, 머리에 둥근 갓을 썼습니다. 그 옆의 불상은 합장한 자세로 머리에 네모난 갓을 썼습니다. 불상이라 그럴리야 없겠지만, 이곳 사람들에게 내려오는 이야기로는 둥근 갓의 불상은 남자이고, 네모난 갓의 불상은 여자라고 합니다.


-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머리 위에 둥근 갓을 쓴 불상은 바위의 형태를 그대로 살린 장대한 어깨에 통견식 대의를 걸쳤고, 가슴에서 리본처럼 묶은 띠 매듭을 하였습니다. 배에서 다리에 걸쳐 'U'자형의 형식화된 옷주름이 있고, 양팔에 걸친 옷자락들이 아래로 길게 늘어져 있습니다.


- 세부


양손은 가슴 위로 들어 올려 한 송이 연꽃 가지를 잡았습니다. 얼굴은 아래턱 부분이 넓은 사다리꼴에 과장된 이목구비를 하였습니다. 그 모습이 기괴하면서도 위압적입니다.


- 세부


머리 위에 네모난 갓을 쓴 불상은 그 모습이 옆 불상과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다만 수인과 갓의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 아랫부분


마애불 아랫부분의 모습입니다. 발과 연화대좌는 따로 표현하지 않았습니다.


- 불두 뒷모습


마애불 뒤로 돌아 올라가 바라본 뒷모습입니다. 머리 부분만 보입니다.


- 불두 뒷모습


둥근 갓을 머리에 쓴 불상의 머리 뒷모습입니다. 어깨너머로 올라간 연꽃 가지 끝의 한 송이 연꽃은 어디로 사라졌는지 보이질 않습니다.


-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마애불의 조성시기는 다소 엇갈립니다. 마애불에 전하는 전설과 같이 고려시대(11세기)에 조성되었다고 알려졌으나, 마애불에 새겨진 명문을 근거로 조선시대(1471년)에 조성되었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습니다. 마애불에 전하는 전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려 선종(
宣宗, 재위 1083년~1094년)은 후사가 없어 고민했다. 후사를 위해 셋째 부인으로 원신궁주(元信宮主)를 맞았으나 역시 후사가 없었다. 어느 날 후궁인 원신궁주가 꿈을 꾸었다. 두 스님이 나타나 "우리는 파주 장지산 남쪽 기슭에 있는 바위틈에 머물면서 수행을 하고 있습니다. 도를 아직 이루지 못했는데 먹을 것이 떨어져서 그러니 먹을 것을 좀 주시오."라고 말하고 사라졌다.


원신궁주의 꿈 이야기를 들은 선종이 사람을 보내 장지산 남쪽 기슭을 살펴보니, 큰 바위 둘이 나란히 서 있었다. 며칠 후 원신궁주는 다시 꿈을 꾸었는데, 두 스님이 다시 나타나 왼쪽 바위는 미륵불상으로, 오른쪽 바위는 미륵보살상으로 모실 것을 당부하며, "모든 중생이 와서 공양하며 기도하면 아이를 바라는 이는 아이를 얻고 병이 있는 사람은 병을 고칠 것입니다."라고 말하고 사라졌다.


선종은 그 바위에 불상을 모시고 절을 지어 원신궁주와 함께 정성을 다해 불공을 올렸다. 그리고 그 해 원신궁주가 회임을 하고 왕자 한산후(漢山侯)를 낳았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을 떠올리며...  (0) 2016.11.11
백제금동대향로  (0) 2016.10.20
파주 보광사 대웅전 외부 판벽 벽화  (0) 2016.10.07
논산 관촉사 석탑  (0) 2016.10.05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0) 2016.09.27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