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호류지 몽전, 나라시대, 8세기

 

류지(法隆寺)는 금당과 오중탑이 있는 서원가람(西院伽藍)그리고 몽전이 있는 동원가람(東院伽藍)으로 나뉩니다. 동원가람은 쇼토쿠(聖德) 태자의 성역입니다. 이곳은 이카루가궁(斑鳩宮)의 부지 일부를 사용하여 729년~749년에 쿄우신(行信) 스님의 주도로 조성되었습니다.

 

몽전(夢殿)은 팔각원당형의 건물입니다. 쇼토쿠 태자의 영묘(靈廟)입니다. 8세기에 세워졌고, 그 후 1230년에 개수되었습니다. 건물 내에는 구세관음상(救世觀音像), 성(聖) 관음보살상, 쇼토쿠 태자 섭정상, 쇼토쿠 태자 16세상, 쿄우신 승도상(行信僧都像), 도우센 율사상(道詮律師像)이 있습니다.

 

- 구세관음상(도판), 아스카시대, 7세기

 

몽전에 안치된 구세관음상입니다. 이 불상은 몽전의 본존불이며, 쇼토쿠 태자의 등신상으로 안치되어 있습니다. 쇼토쿠 태자를 관음보살과 같은 존재로 보았습니다. 평소에는 주자(廚子) 안에 안치되어 있으며, 봄과 가을에 일정 기간에만 공개됩니다.

 

일본은 이 불상을 쇼토쿠 태자를 추모하여 만든 일본 불상으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여러 학자는 백제 불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백제 위덕왕이 부왕인 성왕을 추모하여 만들었는데, 그 모습이 쇼토쿠 태자와 닮아서 일본으로 보냈다고 합니다.

 

- 구세관음상 세부(도판)

 

구세관음상의 세부 모습입니다. 머리에는 화려한 보관을 썼고, 양손으로 보주를 들었습니다.

 

- 성(聖) 관음보살상(도판), 헤이안시대, 10세기

성(聖) 관음보살상목조 불상입니다. 원래는 구세관음상 앞쪽에 있었다고 전하나, 지금은 구세관음상 뒤쪽에 있습니다. 머리에는 원통형의 보관을 썼습니다. 이 양식은 10~11세기 킨키 지방(近畿地方)에서 유행했다고 합니다.

- 쿄우신 승도상(行信僧都像)(도판), 나라시대, 8세기

 

쿄우신(行信) 스님의 초상 조각입니다. 매우 사실적인 인물상입니다. 이 초상 조각은 일본의 초상 조각 가운데 두 번째로 오래된 것이라고 합니다. 쿄우신 스님은 동원가람의 조성을 주도한 스님입니다.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