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불굴사 석조 입불상
불굴사 약사보전 내에 석불 한 분이 모셔져 있습니다. 이 석불은 조선 영조 때 큰 홍수로 땅에 묻혀 있던 것을 송광사 노스님의 현몽으로 발굴되어 이렇게 다시 모셔졌다고 합니다.
석불은 땅 위에 있는 화강암의 바위에 받침대를 조각하고, 그 위에 세웠습니다. 크기는 전체높이가 233㎝, 어깨 폭이 75㎝, 머리높이가 53㎝입니다. 받침대는 2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랫단은 네모난 형태이며, 각 면에 안상무늬를 새겼습니다. 그리고 윗단은 둥근 형태로, 연꽃무늬를 새겼습니다.
- 불굴사 석조 입불상
머리에는 굵고 둥근 육계가 솟아 있고, 별다른 장식이 없는 민머리 형태입니다. 얼굴의 입, 눈, 코, 귀는 훼손되어 큼직한 얼굴에 맞게 다시 새겼다고 하며, 굵은 목에는 삼도가 새겨져 있습니다.
양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발목까지 덮고 있습니다. 오른손은 손바닥이 앞으로 향한 모습이지만, 왼손은 없어져서 원래의 모습을 알 수 없습니다. 지금은 수리하여 무엇인가를 받치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초의 사진에서는 이곳에 보주가 있었는데, 지폐에 가려서인지 눈에 띄질 않습니다. 이것도 황금만능의 세태를 반영하는 것일까요?
불상의 뒷면에도 옷 주름을 뚜렷하게 새겼으며, 목 아래쪽과 머리 쪽에 큰 구멍이 나 있습니다. 이 구멍은 광배를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 불굴사 석조 입불상
이 석불은 몸보다 머리 부분을 크게 하여 등신비율(等身比率)이 도식적이고 비현실적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이것은 고려시대 지방에서 유행하였던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조성시기는 갓바위 약사여래불과 비슷한 때로 보고 있습니다. 갓바위 약사여래불을 갓을 쓴 남성상으로, 이 석불을 족두리를 한 여성상으로 보아 부부라는 이야기도 전합니다. 또한, 갓바위와 불굴사 중간지점에 음양리가 있어 갓바위가 양에 해당하고 불굴사는 음에 해당하는 곳으로 보아 음양의 이치에 따라 조성되었을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수록 혼란스러운 환성사 석탑 (0) | 2012.01.08 |
---|---|
사라진 옛 영화가 그리운 경산 환성사 (0) | 2012.01.07 |
경산 불굴사 삼층석탑 (0) | 2012.01.05 |
북지장사 삼층석탑 (0) | 2012.01.03 |
팔공산 북지장사 (0) | 201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