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송광사 16국사 부도

sky_lover_ 2014. 8. 28. 07:36

- 청진국사 부도

광사(松廣寺)는 16국사를 배출한 승보사찰(僧寶寺刹)입니다.

이곳에서 배출된 16국사는 (1) 보조(
普照)국사 지눌(知訥, 1158~1210 (2) 진각(眞覺)국사 혜심(慧諶, 1178~1234) (3) 청진(淸眞)국사 몽여(夢如, ?∼1252) (4) 진명(眞明)국사 혼원(混元, 1191∼1271) (5) 원오(圓悟)국사 천영(天英, 1215∼1286) (6) 원감(園鑑)국사 충지(沖止, 1226∼1292) (7) 자정(恣靜)국사 일인(一印) (8) 자각(恣覺)국사 정열(晶悅) (9) 자오(慈悟)국사 담당성징(湛堂聖澄) (10) 혜감(慧鑑)국사 만항(萬恒, 1249∼1319) (11) 자원(慈圓)국사 경린(景麟) (12) 혜각(慧覺)국사 경총(景聰) (13) 각진(覺眞)국사 복구(復丘, 1270∼1355) (14) 정혜(淨慧)국사 복암(復庵) (15) 홍진(弘眞)국사 선현(禪顯) (16)고봉(高峰)국사 법장(法藏, 1350∼1428)입니다.

- 송광사 16국사 부도 약도

이들 16국사가 입적한 후 부도가 세워졌습니다. 그 가운데 보조국사 부도, 진각국사
부도, 청진국사 부도, 원오국사 부도, 원감국사 부도, 자정국사 부도, 자각국사 부도, 각진국사 부도, 고봉국사 부도, 이렇게 모두 9기의 부도가 지금까지 남아 있습니다. 이들 부도는 송광사에 7기가 있고, 나머지 2기는 대원사(大原寺)와 불갑사(佛甲寺)에 각각 1기씩 있습니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부도를 시대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 형태는 보조국사 부도를 제외하곤 모두 비슷합니다.

- 제1대 보조국사 부도

보조국사 부도는 송광사 경내 관음전 뒤쪽 높은 곳에 있습니다. "불일보조국사감로탑(佛日普照國師甘露塔)"이라고 합니다. 보조국사가 입적한 후 3년이 지난 뒤인 고려 강종 2년(1213년)에 세워졌으며, 그동안 몇 차례 자리가 옮겨졌으나, 지금은 원래의 위치에 있습니다.

부도는
맨 아래에 2단의 네모꼴 받침돌을 놓고, 그 위로 또 다른
받침돌을 끼워 넣었습니다. 맨 아래 2단의 받침돌은 그 위에 있는 돌들과 석질이 다른 점으로 보아 1926년 이 탑을 해체 복원하면서 새로 끼워 넣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위에 희미하게 연꽃무늬를 새긴 복련석이 몸돌을 받치고 있으며, 그 위에 지붕돌과 상륜부가 올려져 있습니다.

- 제2대 진각국사 부도

진각국사 부도는 광원암(廣遠庵)에 있습니다.

부도는 높직한 2단의 네모꼴 지대석 위에 있습니다. 그 위 둥근 받침돌 위에 중대석이 없이 둥근 하대석과 앙련이 새겨진 상대석이 탑신부를 받치고 있습니다. 상대석 윗면에는 연밥을 상징하는 듯한 연주문이 새겨져 있습니다. 탑신 정면에 "진각국사원조지탑(眞覺國師圓照之塔)"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고, 나머지 면에 사천왕상으로 보이는 인물상과 좌불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두툼한 지붕돌의 낙수면에는 우동마루가 뚜렷하고, 전각에는 귀꽃이 희미하게 남아 있습니다. 상륜부에는 복발, 보륜, 보개, 보주 등이 있습니다.

- 제3대 청진국사 부도

청진국사 부도는 청진암(淸眞庵)터에 있습니다.

부도는 높직한 3단 네모꼴 지대석 위에 있습니다. 하대석에는 복련이 새겨져 있고, 그 위에 고복형 중대석이 놓여 있습니다. 상대석에는 앙련이 새겨져 있습니다. 탑신에는 별다른 장식이 없고, 정면에 "청진국사적조지탑(淸眞國師寂照之塔)"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지붕돌 전각에는 형식화된 귀꽃이 새겨져 있습니다. 상륜부에는 복발만 놓여 있습니다.

- 제5대 원오국사 부도

원오국사 부도는 보성 대원사에 있습니다.

부도는 2단 네모꼴 지대석 위에 있습니다. 중대석은 보이질 않고, 복련이 새겨진 하대석과 앙련이 새겨진 상대석이 있습니다. 탑신 전면에는 "자진원오국사정조지탑(慈眞圓悟國師淨照之塔)"이라 글자가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범자(梵字)가 새겨져 있습니다. 나머지 면에는 보살상과 사천왕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지붕돌 낙수면에는 기왓골이 있습니다. 지금 상륜부에 있는 것은 원래 것이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 제6대 원감국사 부도

원감국사 부도묘적암(妙寂庵)터를 지나서 있습니다.

부도는 높직한 2단의 네모꼴 지대석 위에 있습니다. 하대석에는 복련이 새겨져 있습니다. 중대석과 상대석은 동일석입니다. 중대석은 낮은 고복형이고, 상대석에는 앙련이 새겨져 있습니다. 탑신에는 별다른 장식이 없이 정면에 "원국사보명지탑(圓鑑國師寶明之塔)"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지붕돌 아랫면에는 서까래가 표현되었고, 낙수면에는 기왓골이 표현되었습니다. 상륜부에는 복발, 보륜, 보주 등이 있습니다.

- 제7대 자정국사 부도

자정국사 부도는 불일암(佛日庵)에 있습니다. 불일암은 원래 자정암(慈靜庵)이었다고 합니다. 그것은 자정국사가 주석하였고, 또한 국사의 부도가 이곳에 있기 때문으로 추측됩니다.

부도는 높직한 네모꼴의 3단 지대석 위에 있습니다. 하대석에는 큼직한 복련이 새겨져 있고, 그 위에 중대석이 있습니다. 상대석에는 앙련이 새겨져 있습니다. 탑신에는 별다른 장식이 없고, 정면에 "자정국사묘광지탑(慈靜國師妙光之塔)"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지붕돌에는 우동마루와 기왓골이 표현되었고, 전각에는 귀꽃이 있습니다. 상륜부에는 복발, 보륜, 보주 등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 제8대 자각국사 부도

자각국사 부도는 감로암(甘露庵) 북쪽 언덕에 있습니다. 그래서 감로암 부도라고도 합니다.

부도는 3단의
네모꼴 지대석 위에 있습니다. 하대석에는 큼직한 복련이 새겨져 있습니다. 중대석과 상대석은 동일석입니다. 중대석의 모서리에는 연주문(連珠紋) 주형(柱形)이 새겨져 있고, 상대석에는 앙련이 새겨져 있습니다. 탑신에는 별다른 장식이 없고, 정면에 "자각국사징령지탑(慈覺國師澄靈之塔)"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지붕돌 낙수면에는 우동마루와 기왓골이 표현되었고, 전각에는 귀꽃이 새겨져 있습니다. 상륜부에는 복발, 보륜, 보주 등이 있습니다.

- 제13대 각진국사 부도 (사진 출처: 달넘새)

각진국사 부도는 영광 불갑사에 있습니다. 그곳 부도밭에 있습니다. 부도의 이름은 "각진국사자운탑(覺眞國師慈雲塔)"입니다.

부도는 높직한 3단 네모꼴 지대석 위에 있습니다. 하대석에는 복련이 있고, 상대석에는 앙련이 있습니다. 중대석은 낮은 편입니다. 탑신에는 별다른 장식이 없습니다. 지붕돌은 다른 부분에 비해 큰 편이고, 단순화되었습니다. 상륜부에는 복발과 보주가 있습니다.

- 제16대 고봉국사 부도

고봉국사 부도광원암과 보조암(普照庵)터 사이에 있습니다.

부도는 높직한 2단의 네모꼴 지대석 위에 있습니다. 하대석에는 복련이 있고, 그 위에 고복형 중대석이 놓여 있습니다. 상대석에는 앙련이 있습니다. 탑신에는 별다른 장식이 없고, 정면에 "고봉지탑(高峰之塔)"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지붕돌 낙수면에는 우동마루가 표현되었고, 전각에는 형식화된 귀꽃이 있습니다. 상륜부에는 복발, 보륜, 보주 등이 있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천 부귀사  (0) 2014.09.01
순천 초연정  (0) 2014.08.29
대만 남부 여행: 고웅(高雄) 4  (0) 2014.08.25
거조암 영산전 나한상  (0) 2014.08.20
영천 신원리 당집  (0) 2014.08.19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