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거돈사터 삼층석탑
거돈사터는 그동안 흥법사터와 법천사터와 함께 원주 지역에 있는 절터 가운데 꼭 찾고 싶었던 곳입니다. 이곳은 너른 절터 위에 홀로 서 있는 석탑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마음을 끌 만한 곳이지요.
그동안 꿈꾸었던 거돈사터는 어떤 곳일까요? 텅 빈 가운데 자리한 적막감, 부서지고 무너지고 이제 흔적만 남은 곳에서 느껴지는 쓸쓸함, 그럼에도 느껴지는 편안함과 느긋함, 폐사지에서의 느낌들을 오롯이 느끼게 해주는 그런 곳입니다.
- 거돈사터 삼층석탑
거돈사터 삼층석탑은 금당터 앞에 있습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높이는 5.4m입니다. 일반형의 다른 석탑과 달리 축대를 쌓고 흙을 채워 네모꼴의 단을 마련한 다음 그 위에 탑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정면에 올라가는 계단을 따로 두었습니다.
- 거돈사터 삼층석탑
하층기단의 면석에는 모서리기둥과 1개의 가운데기둥을 새겼습니다. 하대갑석의 윗면에는 경사면을 두었고, 가운데에 2단의 받침을 두어 상층기단을 받치고 있습니다.
상층기단 면석에도 모서리기둥과 1개의 가운데기둥을 새겼습니다. 상대갑석 아랫면에는 부연을 두었고, 윗면에는 하대갑석에서처럼 경사면을 두었습니다. 그리고 가운데에 2단의 받침을 두어 1층 몸돌을 받치고 있습니다.
- 거돈사터 삼층석탑
탑신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한 개의 돌로 되어 있습니다.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기둥만 새겼을 뿐 그 외 별다른 장식은 없습니다.
지붕돌의 층급받침은 5단입니다. 지붕돌의 낙수면은 그리 급한 편은 아니며, 끝에 가서 살짝 반전되었습니다. 지붕돌 윗면 가운데에 2단의 받침을 두어 위층 몸돌을 받치고 있습니다. 지붕돌의 전각에는 풍탁(風鐸)을 달았던 작은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상륜부에는 노반과 최근에 만들어 얹어놓은 보주가 있습니다.
만든 시기는 통일신라시대 후기로 추정됩니다.
- 배례석
석탑 앞에는 배례석이 놓여 있습니다. 옆면에는 안상무늬가 새겨져 있고, 윗면에는 한 송이의 연꽃이 탐스럽게 활짝 핀 모습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 거돈사터 삼층석탑
거돈사터 삼층석탑은 크게 내세울 것도 빠질 것도 없는 적절함 그 자체입니다. 그런 것을 평범함이라고 해도 좋고, 지나침이 없는 절제라고 해도 좋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텅 빈 절터에 한쪽에 거칠 게 없이 허허롭게 서 있는 이 탑에서 넉넉함과 여유로움, 그리고 느긋함을 느낍니다. 매일매일 살아가면서 종종 잊기 쉬운 바로 그런 것들을 말입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릉 선교장 (0) | 2011.12.01 |
---|---|
거돈사터 원공국사 승묘탑비 (0) | 2011.11.25 |
원주 거돈사터 (0) | 2011.11.23 |
법천사터 지광국사 현묘탑비 (0) | 2011.11.22 |
법천사터 당간지주 (0) | 2011.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