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간월사터 남삼층석탑
간월사는
쌍탑가람입니다. 하지만 보통 남쪽을 향한 다른 금당과는 달리 금당이 동쪽을 향하고 있어, 쌍탑이 동·서탑이 아니라 남·북탑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탑의 위치도 금당으로부터 좌우로 각각 34m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먼저 남삼층석탑입니다.
이 탑은 다른 쌍탑가람에서는 서탑에 해당합니다.
다른 곳보다 약간 볼록하게 튀어 오른 곳에 탑이 있는데, 북삼층석탑과는 거의 일직선상입니다. 탑은 2층 기단에 3층
탑신을 올렸고, 지금 상륜부는 없어졌습니다.
- 발굴 조사 때의 남삼층석탑지 전경 (사진 출처:
동아대박물관)
1984년 동아대박물관이 실시한
발굴 조사 당시의 남삼층석탑지의 모습입니다. 당시 탑은 무너졌고, 탑재도 파손되어 일부 파묻힌 상태로 놓여
있었습니다.
- 간월사터 남삼층석탑의 1층
몸돌
탑의 1층 몸돌 4면에는 문비 장식과 함께 무서운 얼굴을 한 인왕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특히 인왕상은 구름을 타고
하늘을 나는 모습으로 돋을새김 되어 있는데,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 힘차고 생동감이 넘칩니다.
특이하게도 문비 내에 귀면이 장식된
문고리가 있습니다. 이처럼 귀면이 장식된 문고리는 매우 드뭅니다. 경주 장항리 절터 오층석탑과 영동 영국사 삼층석탑에서나 볼 수 있을
정도입니다.
- 발굴 조사 때의 남삼층석탑 1층 몸돌 (사진 출처: 동아대박물관)
발굴 조사 때의 남삼층석탑 1층 몸돌 모습입니다.
몸돌 윗면에 네모꼴의 사리공이 있습니다. 북삼층석탑 1층 몸돌 윗면에도 사리공이 있지만, 그것보다 크기가 갑절이나 큽니다. 따라서
북삼층석탑보다는 남삼층석탑이 사리탑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것은 북삼층석탑에는 없는, 문비 내의 문고리
장식을 보아도 더욱 그렇습니다.
- 간월사터 북삼층석탑
다음은 북삼층석탑입니다.
이 탑은
금당터 북동쪽에
있는 작은 야산의 능선 정상에 있으며, 다른
쌍탑가람에서는 동탑에
해당합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이 올려져 있고, 1층 몸돌 4면에 문비 장식과 인왕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남삼층석탑과 많이 닮았습니다.
- 발굴 조사 후 복구된 북삼층석탑 (사진 출처: 동아대박물관)
이 탑 역시 발굴 조사 때는 무너져 있었습니다. 위 사진은 발굴 조사가 끝난 뒤 복구된
모습입니다. 기단부 대부분과 2층 몸돌이 새 부재로 교체된 것을 뚜렷이 알 수
있습니다.
- 간월사터 북삼층석탑의 1층 몸돌
탑의 1층 몸돌에 문비 장식 양옆으로 인왕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남삼층석탑과 닮았습니다. 그러나 문비 내의 문고리 장식이 생략되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 발굴 조사 때 간월사터 북삼층석탑 1층 몸돌 등의 모습 (사진 출처: 동아대박물관)
위 사진은
발굴 조사 때 계곡 아래에
떨어져 있는 북삼층석탑 1층
몸돌과 지붕돌 등의 모습입니다.
당시 능선 남쪽의 계곡 아래에 1층 몸돌과 지붕돌, 기단 면석과 갑석이 떨어져
있었고, 탑지에는 지대석, 2층 지붕돌, 3층 지붕돌, 3층 몸돌 등 작은 석재만 흩어져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