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운문사 삼층석탑의 팔부중상

sky_lover_ 2012. 12. 12. 07:29

- 운문사 삼층석탑

문사 대웅보전 앞에 쌍탑이 있습니다. 운문사 삼층석탑 동탑과 서탑입니다. 두 탑은 규모나 양식이 쌍둥이처럼 서로 닮았습니다.

탑은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 쌍탑의 상층기단 면석에 팔부중상
(八部衆像)새겨져 있어 눈길을 끕니다. 이들 팔부중상은 활짝 핀 연꽃 위에 앉은 자세로 두 다리를 교차시키거나, 한쪽 무릎을 세웠거나, 혹은 가부좌를 트는 등 다양한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팔부중상은 불법을 수호하는 선신(善神)입니다. 전투를 일삼는 투쟁적인 신인 아수라(阿修羅), 거대한 새의 형상을 한 가루라(迦樓羅), 가무와 음악으로 즐거움을 선사하는 악사인 긴나라(緊那羅), 천신 무리를 의미하는 천(天), 향과 음악을 즐기며 음료와 약품을 제공하는 신인 건달바(乾達婆), 뱀을 신격화한 마후라가(摩喉羅伽), 귀신의 무리인 야차(夜叉), 큰 바다에 사는 용(龍)을 말합니다.

아래 사진은 동·서 두 탑에 있는 팔부중상의 모습입니다.

- 동탑의 팔부중상(위쪽:동쪽 면, 아래쪽:북쪽 면)

먼저 동탑에 있는 팔부중상의 모습입니다.

동쪽 면과 북쪽 면에 있는 팔부중상의 모습입니다. 그런데 동쪽 면 오른편에 있는 팔부중상을 보면
입술 부위에 붉게 채색한 듯한 자국 같은 것이 희미하게 남아 있습니다. 보이십니까?

- 동탑의 팔부중상(위쪽:서쪽 면, 아래쪽:남쪽 면)

서쪽 면과 남쪽 면에 있는 팔부중상의 모습입니다.

- 서탑의 팔부중상(위쪽:북쪽 면, 아래쪽:동쪽 면)

이제 서탑에 있는 팔부중상의 모습입니다. 북쪽 면과 동쪽 면에 있는 팔부중상의 모습입니다.

- 서탑의 팔부중상(위쪽:남쪽 면, 아래쪽:서쪽 면)

마지막으로 남쪽 면과 서쪽 면에 있는 팔부중상의 모습입니다.

그런데 유난히 남쪽 면의 팔부중상은
그 느낌이 다른 팔부중상과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는 보기 어려울 만큼 차이가 있습니다. 아마도 후대에 새로 조성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