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경주읍성 석등의 지붕돌
경주박물관
뒤쪽 야외전시장에 독특한 모양을 한 석등 지붕돌이 하나 있습니다.
이 석등 지붕돌이 왜 독특하냐고요? 지붕돌 아랫면을 한 번 보세요. 다른 석등 지붕돌에서는 볼 수 없는, 연꽃무늬로 장식된 지붕돌 받침이
있습니다.
- 경주읍성 석등의 지붕돌
통일신라시대 석등 지붕돌 가운데 이처럼 지붕돌 받침에
연꽃무늬를 장식한 예가 이 석등 지붕돌 말고는 없다고
합니다. 그만큼 희귀한 석등 지붕돌입니다.
- 경주읍성 석등의 간주석과 하대석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이 석등 지붕돌은 어떤
석등의 지붕돌이었을까요?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사진입니다. 일제강점기 때 경주읍성 부근에 있었던 석등의
사진입니다. 이 석등은 그 당시에 이미 간주석이 부러져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간주석의 윗부분과 화사석이 사라지고 없습니다. 간주석의
아랫부분도 하대석에서 떨어져 나가 땅에 뒹굴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붕돌은 조금 더 떨어진 곳에 뒤집힌 채 놓여
있습니다.
- 경주읍성 석등의 지붕돌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지붕돌 받침은 3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윗단과 가운데 단, 그리고 아랫단에 연꽃무늬를
빼곡히 돌린 특이한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 복원된 경주읍성
석등
현재 복원된 석등의
모습입니다.
그런데 석등 지붕돌이 원래 것으로 되어 있지 않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복원 당시 원래
석등 지붕돌이 석등과 균형이 맞지 않는다고 해서 그랬다고 합니다. 원래 석등 지붕돌을 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했던 것일까요?
그래서인지 다른 일반 석등처럼 지붕돌 받침이 없는
평면형으로 복원되었습니다.
비록 석등은 복원되었지만, 지붕돌은 지금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홀로 떨어져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복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산 구계리 석조여래좌상 (0) | 2012.12.15 |
---|---|
통도사 비로암 삼층석탑 (0) | 2012.12.14 |
운문사 삼층석탑의 팔부중상 (0) | 2012.12.12 |
파란 하늘 아래의 용선대 돌부처님 (0) | 2012.12.10 |
옛길을 묵묵히 지키는 관룡사 돌장승 (0) | 2012.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