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경주읍성 석등의 지붕돌

주박물관 뒤쪽 야외전시장에 독특한 모양을 한 석등 지붕돌이 하나 있습니다.

이 석등 지붕돌이 왜 독특하냐고요? 지붕돌 아랫면을 한 번 보세요. 다른 석등 지붕돌에서는 볼 수 없는, 연꽃무늬로 장식된 지붕돌 받침이 있습니다.

- 경주읍성 석등의 지붕돌

통일신라시대 석등 지붕돌 가운데 이처럼 지붕돌 받침에 연꽃무늬를 장식한 예가 이 석등 지붕돌 말고는 없다고 합니다. 그만큼 희귀한 석등 지붕돌입니다.

- 경주읍성 석등의 간주석과 하대석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이 석등 지붕돌은 어떤 석등의 지붕돌이었을까요?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사진입니다.
일제강점기 때 경주읍성 부근에 있었던 석등의 사진입니다. 이 석등은 그 당시에 이미 간주석이 부러져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간주석의 윗부분과 화사석이 사라지고 없습니다. 간주석의 아랫부분도 하대석에서 떨어져 나가 땅에 뒹굴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붕돌은 조금 더 떨어진 곳에 뒤집힌 채 놓여 있습니다.

- 경주읍성 석등의 지붕돌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지붕돌 받침은 3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윗단과 가운데 단, 그리고 아랫단에 연꽃무늬를 빼곡히 돌린 특이한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 복원된 경주읍성 석등

현재 복원된 석등의 모습입니다.

그런데 석등 지붕돌이 원래 것으로 되어 있지 않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복원 당시
원래 석등 지붕돌이 석등과 균형이 맞지 않는다고 해서 그랬다고 합니다. 원래 석등 지붕돌을 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했던 것일까요? 그래서인지 다른 일반 석등처럼 지붕돌 받침이 없는 평면형으로 복원되었습니다.

비록 석등은 복원되었지만, 지붕돌은 지금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홀로 떨어져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복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