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석남사 부도
석남사
경내 뒤쪽에 아름다운 부도 1기가 있습니다. 이 부도는 팔각원당형 부도로, 전체높이가 3.53m입니다.
전체적인 모양은 지대석 위에 상·중·하대로 구성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몸돌과 지붕돌, 상륜부를 차례로 놓았습니다. 오랜 세월이 흘렀음에도 어느 부재 하나 빠지거나 크게 훼손됨이 없이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습니다.
- 기단부
제법 높직한 팔각형 지대석 위에 기단부가
놓여 있습니다.
하대석은 별개의 돌로 상·하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하대석 아랫돌에는 네 마리의 사자가 한 면씩 건너뛰어
돋을새김으로 조각되어 있는데, 그 자세가 모두 제각각입니다. 하대석 윗돌에는 온통 엉킨 구름 모습이 새겨져
있습니다.
중대석은 8각형으로, 아래·위쪽이 줄어든 고복형(鼓腹形)입니다. 면마다 네모난 꽃 모양의 안상무늬가
새겨져 있고, 안상 안에는 꽃잎이 네 장인 연꽃을 야무지게 벨트처럼 맸습니다. 상대석에는 앙련(仰蓮)이 두툼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1962년 해체 수리할 때 중대석 윗부분 중앙에서 긴 네모꼴의 사리공이 확인되었는데, 사리장치는 이미
도난을 당해 없었다고 합니다.
- 탑신부
몸돌에는 정면과 뒷면에 긴 네모꼴의 문 모양이 새겨져 있습니다. 그
가운데 앞면에만 자물쇠와 문고리가 새겨져 있고, 그 좌우로 신장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 신장상
신장상은 그 모습이 거의
완전합니다. 지금도 얼굴에서 표정 하나하나를 알아볼 수 있을 만큼 뚜렷합니다. 그런데 이 신장상이 사천왕상인지 인왕상인지는
아리송합니다.
-
상륜부
지붕돌에는 아랫면에 추녀를 향해 네모진 서까래가 새겨져 있고, 윗면에는 기왓골이 새겨져 있습니다. 특히 우동의 끝 부분에는
작은 귀꽃이 있으나 떨어져 나갔습니다.
상륜부에는 여덟 꽃잎이 솟은 앙화와 팔각기둥 모양의 보륜과 그리고 보개, 높직한 보주까지
온전히 남아 있습니다.
- 석남사
부도
석남사
부도는 전남 장흥 보림사에 있는 보조선사의 부도와 많이 닮았습니다. 즉 보조선사의 부도 양식을 본떠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가지산문과 어떤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부도는 누구의 부도일까요? 전하는 대로 가지산문의 종조인 도의선사의
부도일까요?
석남사 부도는 그 조성 양식을 보아 보조선사의 부도보다 좀 더 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대략 통일신라 말기나 고려
초기 무렵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시기적으로 도의선사의 부도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보아야겠지요. 참고로 설악산 진전사터에
도의선사의 부도로 알려진 부도가 따로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