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석남사 삼층석탑
석남사에는
극락전 앞마당에 높이
2.5m의 자그마한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석남사 삼층석탑입니다.
이 탑은
2층 기단에 3층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지금은 석남사 석가사리탑에 절의 앞마당을 내어주고 뒷마당과 같은 이곳으로
물러나 앉았지만, 가장
오랫동안 석남사와 함께해온 탑입니다.
- 하층기단 면석의 안상무늬
이 탑은 하층기단이 조금
특이합니다.
다른 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서리기둥과 가운데기둥이 면석에 새겨져 있지 않습니다. 그
대신에 안상무늬가 새겨져
있는데, 면마다 4개씩 있습니다. 그리고 하대갑석에는 윗면에 유난히 너른 3단 받침을 두어 상층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대갑석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매우 두껍습니다.
- 상대갑석의 몸돌 받침
상층기단에는
하층기단과는 달리 면석에 안상무늬 대신에 모서리기둥과 1개의 가운데기둥이 새겨져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갑석의 아랫면에는 부연을 두었고, 윗면에
1층 몸돌 받침을 두었습니다. 그런데 이 몸돌 받침이 4단입니다. 다른 탑에서는 일반적으로 2단 받침을 두는데, 이 탑에서는 4단이나
됩니다.
굳이 왜 이렇게 했을까요?
- 탑신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습니다.
몸돌에는 모서리기둥만 새겨져 있을 뿐 다른 장식은 없습니다. 지붕돌은 아랫면의 층급받침이 4단이며, 윗면에는 3단의 받침을 두어
위층 몸돌을 받치고 있습니다. 지붕돌 윗면에 3단의 받침을 둔 것은 아무래도 상대갑석 윗면에 둔 몸돌 받침을 고려한 것으로 보아야겠지요.
지붕돌의 낙수면은 완만하고, 전각에 이르러 경쾌한 반전을 보입니다.
상륜부에는 노반·복발·앙화·보륜·보개 등이 남아 있는데, 노반과
앙화를 제외한 나머지 부재는 후대에 새로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 석남사 삼층석탑
이 석탑은 법수사터
삼층석탑과 제법 많이 닮았습니다. 조성시기는 9세기 말쯤으로 추정됩니다.
석남사는 신라 헌덕왕 16년(824년)에
도의선사가 세웠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탑은 이곳에 석남사가 세워진 이후 지금까지 그 오랜 세월을 묵묵히 석남사와 함께 지내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해 이 탑은 석남사의 터줏대감이자 석남사 역사 그
자체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