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월출산(2019년 2월)
전라남도에 영암군과 강진군을 품고 있는 월출산(月出山)이 있습니다.
월출산은 비옥한 평야 지대에 우뚝 솟아있어 바위산의 웅장한 형세가 두드러진 명산(名山)이자 영산(靈山)으로, 호남의 소금강이 불릴 정도로 수려한 산세를 자랑합니다. 이름난 산에는 이름난 절이 있듯이 월출산에는 도갑사, 무위사, 그리고 월남사지 등 여러 절과 절터가 전합니다.
그중에 무위사(無爲寺)는 월출산의 동남쪽인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에 있는 절로, '무위(無爲'라는 절 이름에 걸맞게 자연적이면서도 단아한 모습으로 우리를 반겨줍니다.
- 극락보전
무위사의 백미는 극락보전입니다.
극락보전은 조선 세종 12년(1430년)에 지어졌다고 하며, 정면 3칸 측면 3칸에 배흘림기둥을 한 맞배지붕 주심포집입니다. 건물 내에는 조선시대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아미타삼존상과 아미타삼존도, 그리고 백의관음보살도가 있습니다.
- 배례석
극락보전 앞마당 정면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배례석이 있습니다.
- 삼층석탑
극락보전 앞마당 한쪽에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고려 초에 만든 것으로 보이는 석탑은 단아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 선각대사편광탑비
극락보전 옆에 선각대사편광탑비가 있습니다.
이 부도비는 귀부와 비신, 이수를 모두 갖춘 완전한 모습입니다. 귀부는 사나운 모습을 하였고, 머리는 용의 모습으로 정수리에 뿔이 있고, 입에 여의주를 물었습니다.
- 선각대사편광탑비
선각대사(先覺大師) 형미(逈微)는 신라 말기의 스님입니다.
그는 보조선사 체징의 제자로 지내다가 보조선사가 세상을 떠난 뒤 당나라로 유학해 불법을 배우고 905년 귀국하여 무위사에 머물렀습니다. 왕건과 긴밀한 관계였던 그는 경명왕 1년(917년)에 궁예에 의해 처형되었습니다.
부도비는 그가 죽은 지 29년 만인 고려 정종 1년(946년)에 세워졌습니다.
- 산신도
선각대사편광탑비 뒤쪽에 산신각이 있습니다. 산신각에는 샛별눈 호랑이를 거느린 산신도가 있습니다. 산신도는 요즘 그림이지만, 깔끔합니다.
- 석불입상
극락보전에서 조금 비켜선 곳에 미륵전이 있습니다. 미륵전에 아줌마 머리를 한 석불이 있습니다.
이 석불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입니다. 인근 수양리 수암 마을에 버려져 있던 것을 어느 독지가가 이곳으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석불은 눈두덩이 부숭부숭하고 입술이 두껍습니다. 영락없이 시골 아주머니 모습입니다.
- 아미타삼존상과 아미타삼존도
극락보전 내에 아미타삼존상과 아미타삼존도가 있습니다.
아미타삼존상은 본존인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협시하고 있습니다. 양쪽의 두 보살은 각각 바깥쪽 다리를 늘어뜨린 자세를 취하였습니다. 아미타삼존상은 아미타삼존도와 거의 같은 양식을 보입니다. 따라서 아미타삼존도와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그동안 아미타삼존상은 목불(木佛)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정밀 조사로 본존은 흙으로 빚어서 만든 소조(塑造), 양협시는 목조(木造)로 밝혀졌습니다. 더불어 조성 시기도 다른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아미타삼존상과 아미타삼존도
아미타삼존도는 숭고미와 우아한 화취(畫趣)가 넘치는 불화입니다. 이 벽화는 극락보전이 지어지고 46년 후인 조선 성종 7년(1476년)에 그려진 벽화입니다.
아미타삼존도는 아미타여래, 관세음보살, 지장보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벽화는 세로 270cm, 가로 210cm의 크기의 흙벽에 붉은색과 녹청색을 위주로 하고 백색, 군청색, 황토색을 일부 사용하여 채색하였습니다.
- 백의관음보살도
아미타삼존도 뒷면에 또 하나의 벽화가 있습니다. 백의관음보살도입니다. 백의관음보살도는 고려 불화의 전통을 이어받은 수월관음도입니다. 이 벽화는 조선 성종 7년(1476년)에 그려진 벽화입니다.
백의관음보살도에서 얼굴과 목, 어깨가 건강한 남성적인 인상의 관음보살이 버들가지와 정병을 들고 연잎 모양의 대좌 위에 서서 아래쪽의 선재동자를 내려다보고 있습니다.
- 무위사 입구
무위사를 떠나며 앞을 바라봅니다. 조금 전까지만 해도 흩날리던 눈발이 멎고 구름 사이로 간간이 말간 하늘이 얼굴을 내밀고 있습니다.
소재지: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74.
(2025.1.29.)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천 삼가 기양루 (0) | 2025.02.06 |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0) | 2025.02.05 |
경산시립박물관 전시물, 특별기획전시 <소월리, 풍요를 바라다> (2) | 2025.01.11 |
진주 응석사, 정평리 무환자나무 (3) | 2025.01.03 |
고성 소천정 (1)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