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망치리 느티나무
거제시 일운면(一運面) 남쪽 지역 바닷가에 망치리(望峙里)가 있습니다.
망치(望峙)는 본래 망골 또는 망티라고 하였습니다. 조선 현종 5년(1664년)에 거제현을 고현(古縣)에서 옛 명진현(溟珍縣)의 서쪽 3리(里)로 옮긴 후 고자산재(姑子山峙)가 너무 가팔라서 숙종 14년(1688년)에 현령 김대기(金大器)가 계룡산 중허리에 큰길을 내다가 과도한 역사(役事)로 안렴사(按廉使)로부터 문책당해 파직되자 뒷산 고개에서 넓은 바다를 바라보며 마음을 달랬다고 하여 망치(望峙)라 하였다고 합니다.
망치리에는 망치(望峙), 양화(楊花), 망양(望洋) 마을이 있습니다. 양화(楊花) 마을은 망치의 남쪽 바닷가에 수양버들 밑 정자가 있어 양화정(楊花亭) 또는 양화징이라 하였습니다. 이곳은 해마다 별신굿을 하던 곳으로, '망치도 굿하고 양화정이도 굿한다'는 구전이 있는 아름다운 곳이라 하여 양화(楊花)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양화 마을 아래 바닷가 쪽에 노거수 느티나무가 있습니다. 망치리 느티나무입니다.

- 망치리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전봇대 굵기만 한 줄기가 사람 손가락처럼 여러 갈래로 하늘을 향해 뻗었습니다.
느티나무 옆에는 개울이 흐르고 있습니다. <일운면지(一運面誌)>에 따르면 이 개울을 큰 내고랑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느티나무를 버선덧거리 또는 벼선떳거리 정자나무라고 하였습니다.

- 망치리 느티나무
일제강점기에 일본군으로부터 이 느티나무를 지켜낸 일화가 다음과 같이 전해집니다.
태평양 전쟁이 한창일 때 일본군이 전투기의 프로펠러를 만들기 위해 이 나무를 베어 가려 하였습니다. 이때 서슬 퍼런 일본군의 총칼 앞에 이 마을의 이사현 옹이 막고 나서서 "이 나무를 베어 가면 큰 화를 입을 것"이라고 크게 화를 내니 겁을 집어먹은 군인들이 물러났다고 합니다.

- 망치리 느티나무
수령: 약 300년. 높이: 14m. 가슴높이 둘레: 5.6m.
소재지: 거제시 일운면 망치리 698-5.

- 양화 마을 앞바다
망치리 느티나무에서 큰길 쪽으로 올라와 마을 뒤 언덕에 올라서면, 마을 앞바다가 바라보입니다. 공곶이와 외도 사이에 있는 아름다운 섬, 내도(內島)가 아스라이 앞바다에 있습니다.

- 망치리 노거수
양화 마을 뒤 언덕에 팽나무로 보이는 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 망치리 노거수
나무는 시름시름 앓고 있습니다.

- 망치리 노거수
누군가가 나무에 큰 상처를 주었습니다. 나무줄기에 톱질한 자국이 남아 있습니다.

- 망치리 노거수
지금 푸른 잎으로 무성해야 할 가지가 제대로 자라지 못한 나뭇잎으로 듬성듬성해져 있습니다.

- 망치리 노거수
나무는 서서히 말라 죽어 가고 있습니다. 나무가 언제까지 살아있을지... 안타깝습니다.
소재지: 거제시 일운면 망치리 553.
(2023.6.25.)
'노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 구조라 춘당매 (0) | 2023.07.01 |
---|---|
거제 문동동 팽나무와 음나무 (0) | 2023.06.30 |
거제 소동리 느티나무 (0) | 2023.06.28 |
부산 가덕도 가덕진성 터, 성북동 팽나무와 은행나무 (1) | 2023.06.27 |
포항 마북리 느티나무 (0) | 202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