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가덕진성 터의 성벽
부산시 강서구 성북동(城北洞)은 가덕도의 북쪽 지역에 있습니다.
이곳은 가덕진성(加德鎭城) 북문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성북(城北)'이란 지명이 붙었습니다. 성 안쪽에 있어 성안 마을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자연 마을로는 선창(船艙), 성북(城北), 율리(栗里), 장항(長項) 마을이 있습니다.
이곳 성북 마을에 조선시대 가덕진성 터가 있습니다. 지금도 가덕진성의 허물어진 성벽 일부가 이곳 덕문중학교 남쪽에 남아 있습니다.
- 가덕진성 터의 성벽
가덕진성은 중종 39년(1544년)에 통영 사량진(蛇梁鎭)에 왜구들이 침입하자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가덕진(加德鎭)을 설치하고, 성을 쌓아 수군첨절제사가 주둔하면서 가덕도 전체를 지키고 다스렸던 곳입니다.
가덕진성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함락되었습니다. 효종 7년(1656년)에 성곽을 재정비하여 가덕진성이 복구되고 가덕진이 안골포에서 가덕도로 돌아왔습니다. <웅천현 읍지(熊川縣邑誌)>에 영조 36년(1760년) 가덕진에 첨사를 두었다는 기록이 나와 있습니다. 1895년 군제 개편으로 가덕진성은 폐지되었습니다.
- 성북동 팽나무
덕문중학교 본관 앞쪽에 노거수 팽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 성북동 팽나무
팽나무는 본관 앞쪽에 있으면서 학교를 지켜 주는 보호수입니다. 그래서 덕문중학교의 교목은 팽나무입니다.
- 성북동 팽나무
팽나무는 오래되고 큰 나무입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쉼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성북동 팽나무
굵은 나무줄기에서 오랜 세월의 연륜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성북동 팽나무
수령: 200년 이상.
소재지: 부산시 강서구 성북동 407-2.
- 성북동 은행나무
덕문중학교 옆에 천가초등학교가 있습니다.
학교 정문 안쪽에 노거수 은행나무 두 그루가 있습니다. 그중 한 그루 밑에 척화비 1기와 영세불망비 3기가 있습니다.
- 성북동 은행나무
이 은행나무는 가덕진성이 있을 당시에도 이곳에 자리를 잡고 있었을 것입니다.
수령: 100년 이상.
소재지: 부산시 강서구 성북동 343.
- 영세불망비
은행나무 아래에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 3기가 있습니다.
이 비는 가덕도 절제사 이우성(李雨成), 이두용(李斗鎔), 오신묵(吳信默)의 영세불망비입니다. 조선말 고종 때 가덕도에서 근무했던 관리들의 공덕을 기려 세워진 비입니다.
- 가덕도 척화비
영세불망비 옆에 척화비 1기가 있습니다.
이 척화비는 건축공사 도중 발견되어 선창마을 갈마봉 동쪽 끝의 도롯가에 방치되어 있다가 1995년에 천가초등학교 교정으로 옮겨졌습니다. 척화비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습니다.
양이침범(洋夷侵犯) /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데
비전즉화(非戰則和) / 싸우지 않으면 화해할 수밖에 없고
주화매국(主和賣國) / 화해를 주장하면 나라를 파는 것이 된다.
계아만년자손(戒我萬年子孫) / 우리의 만대 자손들에게 경고하노라.
병인작신미립(丙寅作辛未立) / 병인년(1866년)에 짓고 신미년(1871년)에 세우다.
(2023.6.25.)
'노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 망치리 느티나무 (8) | 2023.06.29 |
---|---|
거제 소동리 느티나무 (0) | 2023.06.28 |
포항 마북리 느티나무 (0) | 2023.06.22 |
경주 노당리 은행나무 (0) | 2023.06.21 |
경남 고성의 보호수 (2)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