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광양 중흥사
광양 중흥사(中興寺)는 임진왜란 때 승병이 왜군과 맞서 싸웠던 중흥산성(中興山城)에 있습니다.
절은 통일신라 말에 세워졌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소실된 후 작은 암자로 유지되어 오다가 없어졌다고 합니다. 지금의 절은 1963년에 다시 세워졌습니다.
- 중흥산성 삼층석탑
중흥사 한쪽에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 중흥산성 삼층석탑
탑은 자그마하지만, 섬세하고 아름답습니다.
- 중흥산성 삼층석탑
탑은 이층기단의 삼층석탑입니다. 탑신부가 기단부보다 왜소합니다. 이것으로 탑은 안정감은 얻었으나 상승감은 잃었습니다.
- 하층기단부
하층기단은 저석과 면석이 하나의 돌로 되어 있습니다. 면석마다 모서리기둥과 3개의 가운데기둥이 있습니다. 탑의 조성 시기와 크기를 고려할 때 가운데기둥 수가 좀 많습니다.
- 하대갑석
하대갑석 윗면에 약간의 물매가 있습니다. 그리고 네 모서리 합각선에 약간 도드라지게 내림마루를 표현하였습니다.
- 사천왕상
상층기단 면석에 사천왕상, 공양보살상, 인왕상이 있습니다. 위 사진은 사천왕상 가운데 동방지국천왕(東方持國天王), 북방다문천왕(北方多聞天王)입니다.
- 사천왕상
남방증장천왕(南方增長天王)과 서방광목천왕(西方廣目天王)입니다.
- 공양보살상
공양보살상입니다. 연화좌 위에 무릎을 꿇고 앉아, 두 손으로 공양물을 받쳐 들었습니다.
- 인왕상
인왕상입니다. 밀적금강(密迹金剛)과 나라연금강(那羅延金剛)입니다.
- 상대갑석
상대갑석 테두리에 작은 구멍들이 나 있습니다. 이곳에 금속제 장식물을 꽂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 사방불
1층 몸돌 면석에 사방불(四方佛)이 있습니다. 위 사진은 석가여래좌상입니다.
- 사방불
약사여래좌상입니다.
- 사방불
아미타여래좌상입니다.
- 사방불
미륵불입니다. 다른 사방불은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데, 미륵불만은 연화좌 위에 서 있습니다.
- 탑신부
탑신부입니다. 그 모습이 단정합니다. 아미타여래좌상의 단정한 모습처럼 말입니다.
- 중흥산성 삼층석탑
탑은 지금 모습만으로도 아름답습니다. 그렇지만 상대갑석 네 모서리에 놓였던 네 마리 돌사자가 없어져 못내 아쉽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창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0) | 2020.02.02 |
---|---|
고창 선운사 도솔암 (0) | 2020.02.01 |
광양 옥룡사지 (0) | 2020.01.28 |
통영 문화동 벅수와 세병관 (0) | 2020.01.22 |
부산 기장향교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