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연리 팽나무전북 군산시 옥서면(沃西面)의 남쪽 지역에 선연리(仙緣里)가 있습니다. 선연리는 서해와 만경강 하구에 접하고 있으며, 간척지로 조성된 곳입니다. 구릉성 산지가 조금 있으나 대부분 넓은 평야입니다. 군산공항이 지역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선연(仙緣)'이라는 지명은 이 지역에 신라시대 최치원이 공부했다는 자천대(紫泉臺)가 있었기에, 최치원을 신선으로 보아 신선이 머물다 간 곳이라는 뜻으로 붙여졌다고 합니다. 자연 마을로 송촌, 산동, 장전, 장원, 신장원, 하제, 중제, 신하제, 난산, 신난산 등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남쪽 지역 마을들은 사라졌고, 북쪽 지역 마을들만 남아 있습니다. - 선연리 팽나무 만경강 하구와 서해가 만나는 선연리 남쪽 끝자락에 하제(下堤) 마을이 있었습니다. ..

- 망주봉에서 바라본 전경 전북 군산시 고군산 군도(古群山群島)의 옛 명칭은 군산도(群山島)입니다. 군산도(群山島)는 바다 위의 여러 섬이 산봉우리처럼 무리 지어 있는 것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입니다.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전기까지 선유도(仙遊島)를 비롯한 고군산 군도를 군산도라 하였습니다. 군산도는 일찍부터 중국과 교류하는 남방 해상 항로의 경유지이자 군사적 요충지였습니다.고려시대에 이르러 군산 지역에 조창(漕倉)이 설치되고 중국 송나라가 고려와 교류할 때 북방 민족을 피하여 남방 항로를 이용하게 되면서, 군산도는 주요 조운로(漕運路)이자 중국과 통하는 해상 교류의 주요 거점이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 군산도의 군진(軍鎭)이 옥구현의 진포로 옮겨감에 따라, 군산도는 고군산도(古群山島)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

- 신시도 어촌마을 숲 전북 군산시 옥도면(沃島面)은 군산시 서쪽 해상에 있는 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옥도면에 신시도(新侍島)가 있습니다. 신시도는 고군산 군도(古群山群島)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입니다. 남서쪽에 무녀도, 북동쪽에 야미도가 있습니다. 신시도의 행정 명칭은 신시도리(新侍島里)입니다. - 신시도 어촌마을 숲 신시도 어촌마을 안쪽의 낮은 언덕에 마을 숲이 있습니다. - 신시도 어촌마을 숲 신시도 어촌마을 숲에 보호수 회화나무와 팽나무가 한 그루씩 있습니다. 신시도리 회화나무와 팽나무입니다. - 신시도리 회화나무 신시도리 회화나무는 다른 팽나무와 나란히 함께 있습니다. - 신시도리 회화나무 수령: 250년. 높이: 17m. 가슴높이 둘레: 2.7m.소재지: 전북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

- 야미도 꽃게바위 전북 군산시 고군산 군도(古群山群島)는 선유도, 무녀도, 야미도, 신시도, 장자도 등의 유인도 12개와 무인도 40여 개로 이루어진 천혜의 명승지(名勝地)입니다. '고군산 군도'라는 이름은 오늘날 고군산 군도의 중심 섬인 선유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고려시대 이곳에 수군 진영을 두고 군산진(群山鎭)이라 불렀습니다. 조선 세종 때 수군 진영이 인근의 육지로 옮기면서 기존의 군산도(群山島)를 옛 군산이라는 뜻의 옛 '고(古)' 자를 붙여 '고군산(古群山)'이라 하였습니다. 이후 '고군산'이라는 이름이 중심 섬인 선유도와 인근의 전체 섬을 일컫는 이름이 되었습니다. 고군산 군도는 해발 고도 150m 이하의 낮은 구릉성 섬들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 가운데 신시도가 가장 크며, 선유..

- 신금리 느티나무 전북 완주군 삼례읍에 신금리(新金里)가 있습니다. 신금리는 금산리에서 새로 생긴 마을이므로 '새금산' 또는 '신금산'으로 줄여서 '신금'이라고 하였습니다. 자연 마을로는 월산, 농원, 별산, 원신금, 백두 등이 있습니다. 월산, 농원, 별산 일대는 신금리의 북쪽 지역으로 낮은 구릉지 지대이고, 원신금, 백두 일대는 신금리의 남쪽 지역으로 석탑천 주변의 범람원에 형성된 평야 지대입니다. - 정려비각 원신금 마을 앞쪽에 정려비각이 있습니다. - 정려 정려(旌閭)는 나라에서 준 일종의 표창문과 같은 것입니다. 이곳 정려에는 '유명조선효자학생이선배지려(有明朝鮮孝子學生李善培之閭)'라고 적혀 있습니다. 효자 이선배의 정려입니다. - 정려비 정려비에는 '효자학생이선배지려(孝子學生李善培之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