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경남 함양중학교에 웅장한 고려시대 석불이 있습니다.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이 바로
그것입니다. 불상의 신체 높이가 2.45m이고, 대좌 높이가 1.58m에 이르니, 4m가 넘는 거대한
불상입니다.
지금 불상은 전체적으로 마멸이 심합니다. 머리와 오른손, 무릎 및
대좌의 일부가 깨어졌고, 광배도 없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당한 느낌은 여전합니다.
- 대좌
대좌는 상·중·하대석을 고루
갖춘 사각형 대좌입니다.
- 상대석(상)과 하대석(하)
상대석은 심하게 깨어져 형태만 겨우 남았습니다. 상대석 아랫면에는 겹잎의 앙련이 있는데, 대부분 깨어져 나가 일부만 남았습니다. 중대석에는 면마다 커다란 안상무늬가 있습니다.
앞면과 뒷면에는 2개씩, 양 옆면에는 1개씩 있습니다.
하대석 윗면에는 겹잎의 복련이 있고, 하대저석에는 자그마한 안상무늬가 있습니다. 이 안상무늬 안에는 꽃송이 모양의
무늬가 있습니다.
- 하대석의 복련
하대석의 복련은 비교적 뚜렷하게 남아 있습니다.
-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얼굴은 많이 닳았고, 머리 부분도 많이 깨어졌습니다.
얼핏 보면 무뚝뚝해 보이지만,
입가에 알듯 모를 듯 엷은 미소를 머금고
있어 온화한 느낌도 있습니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법의는 우견편단을 하였습니다. 오른팔은 굵고 우람하며, 손은 깨졌지만 수인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취한
것으로 보입니다.
- 뒷면
불상 뒷면에는 밀집한 평행선으로 옷 주름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러한 기법은 고려시대 초기 조각에 자주 보이는 것으로, 조각 기술의
퇴보를 보여줍니다. 조성 시기는 고려시대 초인 10세기
말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 불상은 용산사터(龍山寺址)에 있었다고 전해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용산사터가
지금 함양중학교가 있는 곳이라고 전해오고 있습니다. 그러니 이곳에 이렇게
불상이
있는 것이 이상한 일은 아니지
싶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해 동림사 석탑재 (0) | 2014.12.03 |
---|---|
수수께끼로 남은 돌무덤, 전 구형왕릉 (0) | 2014.12.01 |
가을 끝자락의 함양 백운암 (0) | 2014.11.24 |
목조 동자·동녀상 (0) | 2014.11.20 |
백률사 금동여래입상을 바라보다. (0) | 201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