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경주 남산 약수골 마애불

수골에 있는 절터 가운데 가장 높은 곳에 제5사지가 있습니다. 이곳의 암벽에 거대한 부처님이 있습니다.

바로 약수골 마애불입니다. 머리도 없이 몸체만 남은 부처님입니다. 이 마애불이 만들어진 시기는 통일신라시대 9세기경으로 알려졌습니다. 남산 전체가 장엄한 불국토를 이루었던 그 옛날 그때였습니다.

- 약수골 마애불

마애불은 어깨 아랫부분만 해도 그 높이가 8m가 넘어, 밑에서 바라보면 까마득히 올려다보입니다. 머리까지 포함하면 아마도 그 높이가 10m 이상 되었을 것입니다.
주 남산에서 가장 큰 부처님으로, 건물 3층 높이에 해당합니다.

신체는 전면(全面)에 옷 주름만 보일 뿐 몸의 굴곡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오른손은 아래로 곧게 내렸고, 왼손은 가슴 위로 들었습니다. 그리고 두 손 모두 엄지와 중지를 가볍게 맞대고 있습니다. 그 모습이 아름다워 황홀감을 느끼게 합니다.

법의는 통견입니다. 양쪽 어깨에서 드리운 겉옷은 옷자락을 아래로 곧게 내려뜨렸습니다. 양팔을 감싸고 드리워진 옷자락 사이로 비스듬히 새겨진 속옷이 드러나 있습니다.

- 마애불 옷섶에 핀 고사리

그런데 이 추운 겨울날에 무슨 조화일까요? 마애불 옷섶 사이로 가냘픈 생명이 자라고 있습니다. 바위틈을 비집고 고사리 한 포기가 자라고 있습니다. 그 고사리를 겨울 햇살이 말없이 쓰다듬고 있습니다.

- 마애불의 발

마애불 바로 앞에는 발 하나가 제자리를 벗어나 위로 향해 보며 놓여 있습니다. 발은 발톱이 새겨진 발끝만 남았습니다.

- 불두가 놓였던 부분

마애불이 새겨진 암벽 위쪽에는 불두가 놓였던 흔적들이 있습니다.
목 부분을 받쳤던 둥근 홈과 양쪽 귀 부분을 받쳤던 네모난 홈이 있습니다. 따로 불두를 만들어 이곳에 끼웠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불두를 끼웠던 타원형 홈의 지름이 65cm에 이릅니다. 상상이 되세요? 그 모습이 얼마나 대단했을지…. 문득 철와골 불두가 머릿속을 스쳐 지나갑니다.

- 약수골 마애불

마애불이 바라보는 쪽을 향해 바라봅니다. 맞은편 능선이 눈앞에 펼쳐져 보입니다.

저 너머의 무엇을 바라보며
마애불은 지금껏 섰을까요? 그리고 무슨 염원이 그토록 절실했기에 당시 사람들은 이처럼 높은 곳의 바위 면에 거대한 마애불을 힘들여 새겼을까요?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