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법광사터로 가는 숲길
시간의
흐름은 누구도 거역할 수 없습니다. 봄이 가면 여름이 오고, 여름이 가면 가을이 오고, 가을이 가면 겨울이 옵니다. 그리고 겨울이 가면 다시
봄이 찾아옵니다. 우리 또한 나고, 자라고, 그리고 늙어 죽습니다.
삶과 죽음, 태어남과 사라짐, 대비되는 이 둘은 대체
무엇인가요? 절터는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이러한 이 두 명제를 생각하게 합니다. 오늘은 포항 신광면에 있는 법광사터(法光寺址)를 찾아갑니다.
- 단풍이 물든 나무
이제
계절은 가을의 막바지에 다다랐습니다. 노랗고 빨갛게 물든 나뭇잎은 바람이 불지 않아도 스스로 땅에 떨어져 쌓입니다. 늦은 오후 햇빛은 이미 그
힘을 잃었습니다.
- 삼층석탑
법광사터로 향한 숲길을 걷다 보면, 먼저 담장으로 둘러싸인 탑과 비를 만나게
됩니다.
그늘진
탑은 오후 햇빛으로 군데군데 환하게 빛납니다. 예전의 어색했던 모습을 벗고 이제는 제모습을 되찾았습니다. 3층으로 올려진 이 탑은 신라 흥덕왕
3년(828년)에 세워졌습니다. 그 당시 석탑이 그렇듯이 이 탑 또한 평범하지만 단아한 모습을 잃지 않았습니다. 절제된 아름다움이 아직 남아
있습니다.
- 석가불사리탑비의 지붕돌(위쪽: 2013년 11월, 아래쪽: 2007년
1월)
석탑 바로 옆에 비가 있습니다. 석가불사리탑비입니다.
이 비는 조선 영조 26년(1750년)에 세워졌습니다. 비에는 석탑의 중수 내력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눈길이 저절로 비의
머릿돌에 갑니다. 오늘따라 이끼가 끼어 그런지, 그늘이 져서 그런지, 그곳 문양이 뚜렷하지 않습니다.
이곳에는 양쪽
끝 아래쪽에 국화꽃 무늬가 새겨져 있고, 그 사이에 붕어인지 잉어인지 물고기 한 마리가 새겨져 있습니다. 보이나요? 잘 보이질 않는다고요?
그러면 2007년 1월에 찍은 사진을 보시죠.
- 불대좌
법광사는 신라 진평왕 때 세워진 그의 원당사찰(願堂寺刹)입니다. 창건 당시에는 갖가지 보배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왕궁보다도 사치스러웠으며, 불국사와 맞먹는 규모와 수준을 자랑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당시의 화려함은 눈을 씻고 보아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당시의 화려하고 당당했을 절의 모습을
그나마 짐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금당터의 불대좌입니다.
그렇지만 불대좌마저도 완전하지는 않습니다. 불상이 없어진 것은 그렇다고 치고, 모서리가 많이 깨어진
상대석은 뒤집힌 채 옆에 놓여 있습니다. 단지 하대석과 중대석만이 비교적 온전하게 남았습니다. 이처럼
비록 깨어지고 무너졌지만,
지금도 이 불대좌를 마주하면 엄청난 힘과 무게가
느껴집니다.
- 쌍귀부
절터 뒤쪽 한 단 높은 언덕에 쌍귀부가 있습니다.
이 쌍귀부도 몸돌과 머릿돌을
잃어버렸습니다. 형태는 두 마리 거북이 등을 붙이고 나란히 엎드린 모양인데, 이마저도 온전치 못하고 머리를 포함하여 몸 전체가 많이 깨졌습니다.
등에 새겨진 귀갑무늬도 거의 알아볼 수 없을 만큼 희미해졌습니다.
- 쌍귀부
쌍귀부 쪽에서
앞을 바라보면, 불대좌가 있는 금당터가 바로 바라보입니다.
이런
곳에 있는 비의 원래 모습은 어땠을까요? 지금은 무참히 깨어져 그 형태조차 알아보기 어렵지만, 당시 얼마나 대단했을지 상상이
되나요?
- 쌍귀부 주위
늦은 오후의 마지막 남은 햇살이 노랗게 물든 이곳 은행나무를 환하게 비춥니다. 햇살을 받은 은행잎은
더욱 노랗게 빛납니다. 하지만 마지막 남은 이 햇살이 사라지고 나면, 은행잎의 그 빛깔도 함께 사라져버릴
것입니다.
- 당간지주
이제껏 왔던 길을 되돌아갑니다. 절터로 오르는 막바지 길 왼편에 있는 당간지주로 향합니다.
당간지주의 아랫부분은 땅속에 묻혀 있고, 윗부분만 땅 위로 노출되어 있습니다. 노출된 윗부분은 바깥면으로 활 모양을 그리며 흘러내리다가 1단의 굴곡을
이루었고, 그 안쪽에는 네모진 간구가 있습니다. 지금 볼 수 있는 것은 이것이 다입니다. 그래도 이게
어딘가요? 이것만으로도 좋습니다.
지난번에 왔을 때엔 이곳이 논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무슨 작업을 하는지 땅을 온통 뒤집어
놓았습니다. 당간지주 바로 옆에 흙무더기가 잔뜩 쌓여 있습니다. 지금 법광사터의 신세를 보는 것 같습니다.
어쩌겠어요…. 이것도 다 자연의
섭리인가 봅니다.
날이 저물어갑니다. 그림자가 길게 땅에 드러눕습니다. 이제 늦은 오후
햇살만을 남겨 두고 법광사터를 떠나야 합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가사 석조여래좌상 (0) | 2013.11.16 |
---|---|
유가사 삼층석탑 (0) | 2013.11.15 |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 (0) | 2013.11.12 |
경주 왕룡사 목조 문무인상 (0) | 2013.11.11 |
관룡사 대웅전 수월관음도를 다시 보다. (0) | 201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