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보원사지 고려철불좌상

sky_lover_ 2013. 7. 8. 07:53

- 보원사지 고려철불좌상

산 보원사터에서 출토된 철조 불좌상입니다. 1918년 3월에 총독부박물관으로 옮겨져,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습니다.

보원사터는 충남 서산군 운산면 가야산에 있는 절터입니다. 절의 창건 시기가 언제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백제 때 창건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고려 초에 크게 번창하였으며, 조선 후기까지도 절이 유지되었다고 합니다.

- 보원사지 고려철불좌상

불상의 머리는 나발이고, 육계가 뚜렷합니다. 넓적한 얼굴에 눈이 가늘며, 코와 입이 유난히 작고, 아래턱을 안으로 당기고 앉은 표정이 인상적입니다. 두 손은 사라졌으나, 항마촉지인을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법의는 우견편단으로 얇아 몸에 밀착되어 몸의 굴곡이 드러나 보입니다. 옷 주름은 도식적으로 처리되는데, 얕은 층단형으로 선각에 가깝습니다.

- 보원사지 고려철불좌상

이 불상은 높이가 2.57m에 이르는 큰 철불입니다.
조성 시기는 고려 때인 11세기로 추정됩니다. 고려 광종 1년(949년)에 법인국사가 발원해 석가삼존금상을 봉안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 당시 조성했던 본존불이 이 불상이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철불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불상에 비해 거친 느낌을 주는 반면에 남성적인 힘을 느끼게 합니다. 특히 거대한 철불에서는 그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힘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이 불상에서는 그런 힘을 별로 느낄 수 없습니다. 왜일까요? 불상의 표정을 한 번 보시죠.
참 묘한 느낌이 드는 표정입니다. 웃는 것 같기도 하고, 어찌 보면 우는 것 같기도 합니다.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