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영산 만년교와 비(碑)들

sky_lover_ 2012. 12. 31. 08:18

- 영산 만년교와 만년교비

(靈山)에는 아름다운 구름다리가 있습니다. 꾸밈없는 수수한 아름다움을 지닌 이 다리를 사람들은 만년교(萬年橋)라고 합니다.

이 다리는 조선 정조 4년(1780년) 석수장이 백진기(白進己)가 처음 만들었으나, 정축(丁丑年) 대홍수 때 그만 떠내려가고 말았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고종 29년(1892년)에 당시 현감 신관조(申觀朝)가 석수장이 김내경(金乃敬)을 시켜 남천석교를 중건하면서 '이 다리가 만년을 갈 것이다'하여 '만년교'라 이름 지었다고 합니다.

- 영산 만년교

이곳에선
만년교를 '원다리'라고 부르기도 하고, 남산(南山, 함박산(咸朴山)이라고도 함)에서 흘러내리는 냇물에 놓인 다리라고 하여 '남천교(南川橋)'라고도 합니다.

다리는 반원형의 곡선이 물 위에 뜬 무지개를 연상케 합니다. 양안을 자연석으로 쌓은 석축을 앞뒤로 길게 연장하여 남천 양쪽의 길과 연결하였습니다. 아무렇게나 쌓은 잡석의 짜임새가 허술해 보여도 실제로는 매우 견고하여 이제껏 수많은 홍수에도 잘 견뎌왔다고 합니다.

- 만년교비

만년교에는 여러 비(碑)들이 서 있습니다. 먼저 호국공원 쪽에 있는 '만년교비'입니다. 검은 돌에 '만년교(萬年橋)' 세 글자를 큼직하게 새겼습니다.

- 만년교비

홍살문이 있는 쪽에 있는
'만년교비'입니다. 이 비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합니다.

만년교가 처음 완성될 무렵, 이 고을에는 신통한 필력을 가진 13살 난 신동(神童)이 살고 있었습니다. 다리가 완공되던 날 밤, 소년의 꿈속에 나타난 노인은 자신이 산신임을 자처하며, "듣건대, 네가 신필(神筆)이라고 하니 내가 거닐 다리에 너의 글씨를 새겨놓고 싶다. 다리의 이름은 만년교로 정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노인이 사라진 뒤 소년은 먹을 갈아 '만년교(萬年橋)' 3자를 밤을 새워 써 놓았다고 합니다.

- 남천석교서병명비(왼쪽: 앞면, 오른쪽: 뒷면)

마지막 비입니다. '남천석교서병명비'라고 합니다. 처음 다리를 만들 때 세운 것입니다. 비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앞면>

남천석교서
병명(南川石橋序幷銘)

여량(輿樑)은 만백성이 편리하게 건너다니는 곳이며, 또 왕정(王政)의 한 가지 일로 진(秦) 나라의 하교(河橋)와 진(晋) 나라의 부교(浮橋)가 이것이다. 지금 고을의 남쪽에 시내가 있어 마을을 감싸고 흘러가 읍기(邑基)의 수구(水口)가 되는데, 대로(大路)가 그 위에 있어 조서(詔書)를 받든 사신(使臣)에게 바칠 공물(貢物)이 그곳을 지나간다. 이 때문에 예로부터 나무를 얽어 다리를 만들었으나 물이 넘쳐 다리가 무너져 매번 물을 건너는데 애로가 있었다.

하루는 고을의 백성들이 서로 더불어 도모하기를, "다리를 오래 보존하고 물의 흐름을 제압할 방법으로는 돌을 깎아서 다리를 만드는 방법보다 좋은 것이 없다."라고 하였다. 고을에 사는 김윤관(金允寬)이 현감(縣監)의 명을 받들어 백성들에게서 재물을 모으고 다른 산의 돌을 깎아서 이 다리를 축조(築造)하여 몇 개월 만에 그 일이 완성되었다. 이로부터 백성들로서는 물을 건너지 못할 근심이 없어지게 되었고, 고을에서는 물을 진압할 방법이 있게 되었으며, 돌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쇠하지 않는다.

비석에 새기려고 나한테 비문을 청하였는데, 내가 문장에 능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사양하였으나 뿌리치지 못하여 마침내 명문(銘文)을 지었다. 다음과 같이 명(銘)한다.

다리를 어찌하여 돌로 만들었는가?
오래도록 보존할 방법으로는 돌이 알맞기 때문이지.
무엇 때문에 무지개 모양으로 깎았는가?
옮길 수 없게 하려는 것이니, 그 공을 알 것이다.

<뒷면>

대시주(大施主) 유학(幼學) 남붕명(南朋溟)
금양현(金陽縣)에 사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선한평(宣漢平)
업무(業武) 권이선(權以善)
호장(戶長) 이백신(李百新)
이방(吏房) 장지성(張智城)
도감(都監) 절충(折衝) 김태준(金泰俊)
업무 김필순(金必淳)
업무 김윤관(金允寬)
가선 김대준(金大俊)
야장(冶匠) 조복재(趙福才)
석수(石手) 백진기(白進己)

건륭(乾隆) 45년 경자년(정조 4년, 1780년) 3월 일에 세우다.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