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창녕 술정리 동삼층석탑
창녕
근처만 가도 창녕 술정리에 있는 두 탑이 늘 눈에 아른거립니다. 술정리 동삼층석탑과 서삼층석탑이 그것입니다.
두 탑은
하나는 국보로, 다른 하나는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두 탑에 대해 갖는 마음은 매한가지입니다. 동탑을 찾으면 서탑이 눈에 밟히고,
서탑을 찾으면 동탑이 눈에 밟힙니다. 그래서 언제나 두 탑을 같이 찾게 됩니다.
오늘은 술정리 동삼층석탑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
보겠습니다.
- 술정리 동삼층석탑의 주위 모습
한동안 술정리 동삼층석탑을 찾지 못했습니다.
그동안 어수선했던 탑의 주위가 말끔히 정리되었습니다. 탑 주위를 둘러싼 어수선함과 소란스러움이 많이 가셨습니다. 텅 빈 공간에 탑만이 오롯이 선
모습이 보기에 좋습니다.
- 일제강점기 때의 술정리 동삼층석탑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일제강점기 때의 술정리 동삼층석탑은
어땠을까요?
그것은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사진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탑의 기단부가 약간 기울어진 것 외에는 지금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탑 주위로 돌담을 두른 초가집들이 들어서
있는 것은 지금과 많이 다릅니다.
- 기단부 갑석의 받침 (왼쪽:하대갑석, 오른쪽:상대갑석)
술정리 동삼층석탑은 어디 한 군데 흠 잡을 데가 없습니다. 기단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탑신부와
비교하여 크지도 작지도 않은, 딱 적당한 크기를 갖추었습니다. 거기에다 자태마저 듬직하고 안정감이 있습니다.
탑의 기단부를 보면서
갑석 윗면에 있는 2단 받침에 마음을 빼앗깁니다. 하대갑석의
호각형 받침과 상대갑석의 각형 받침이 그것입니다. 하나는 아랫단을 윗단과는 다르게 둥글게 깎았고, 다른 하나는 윗단과 같이 모나게 깎았습니다.
이런 절묘한 조화가 저는 좋습니다.
- 탑신부
고개를 들어 위를 쳐다봅니다.
시원하게 위로 뻗은 1층 몸돌과 그리고 그 위로
층층이 놓인 지붕돌과 몸돌이 만들어 내는 그 느낌들이 어떻습니까? 하늘로 향한 염원 같은 것을 느낄 수 있습니까? 그리고 지붕돌 아랫면
층급받침의 엄격한 직선과 끝에서 살포시 솟은 지붕돌 처마선의 완만한 곡선은 또
어떻습니까?
이런저런 것을 보는 것만으로도 즐겁지 않습니까?
- 술정리 동삼층석탑
천천히 주위를 둘러봅니다.
탑 뒤로는
멀리 화왕산이 묵묵히 버티고 섰습니다. 해는 이제 그림자를 땅에 길게 늘어뜨리며 서산 너머로 지려고 합니다. 초겨울의 차가운 바람은
매섭기만 하고, 구름 한 점 없는 파란 하늘에는 하얀 낮달이 걸렸습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도사 자장암 삼층석탑 (0) | 2012.12.03 |
---|---|
허물없는 친구와 같은 술정리 서삼층석탑 (0) | 2012.12.02 |
관음사 미륵존불상과 석등 (0) | 2012.11.29 |
도천 삼층석탑 (0) | 2012.11.28 |
관룡사 대웅전 수월관음도 (0) | 201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