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거제 장목진 객사 전경
거제도는
왜구의 침략이 심해서 조선 초기에 7개 군진(軍鎭)이 설치되었습니다. 장목진는 그 가운데 하나입니다. 당시 장목진에는 객사가 있었는데, 지금은
장목면 장목리 서구마을에 있습니다.
객사란 공무로 출장을 온 관원이나 고을을 찾은 중요한 손님들이 묵는 숙소입니다. 그러면서도 객사 건물의
중앙에는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셔 두어, 출장 중인 관리나 수령은 반드시 이곳에 들러 임금의 전패에 절을 올려야 했습니다. 따라서 객사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지방 공공시설의 하나이기도 했습니다.
장목진 객사 역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 장목진 객사에서 바라본
풍경
장목진은 거제도 북쪽 끝에 있습니다.
따라서 이곳은 진해만
일대를 방어하는 데 있어 전략적 요충지입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장목진 객사는 당시 상륙 주둔한 수군들이 전략을 숙의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습니다. 그 한 예로 임진왜란 때 이곳에서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이영남(李英男) 장군이 거제 옥포해전(玉浦海戰)과
칠천해전(漆川海戰)의 전략을 숙의하기도 했습니다.
- 장목진
객사
지금의 장목진 객사는 겨우 담장과 출입문으로
외부와 경계를 이루고 있고, 부속건물도 없이 본채만 덩그러니 남았습니다.
이 객사는 선조 25년(1592년) 정월 장목별진장(長木別鎭長)이 진영객사(鎭營客舍)로
건립하였다고 하며, 원래는 동구마을에 있던 것을 정조 9년(1785년)에 지금의 장소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순조 2년(1802)에 다시 지었고, 그 후 1914년부터 1953년까지는
장목면 사무소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한때 경로당으로도 사용되었는데,
건물이 낡아서 1981년~1982년에 해체 복원하였습니다.
- 장목진
객사 비석군
장목진 객사의 마당 한쪽에는 6개의 비가 나란히 서
있습니다. 이곳을 거쳐 간 관리들의 선정비나 공덕비 같은 것들입니다. 그 가운데
2개의 비를 한 번 살펴볼까요?
- 정락용 유혜비와 김경율 선정비
먼저 왼쪽 비는 정락용
유혜비(鄭洛鎔遺惠碑)입니다.
비문 가운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가선대부행삼도통제사정공락용유혜비(嘉善大夫行三道統制使鄭公洛鎔遺惠碑)
숭정기원후오경진오월추군졸등립(崇貞紀元后五庚辰五月秋軍卒等立). 여기에서 숭정 연호가 사용된 해가 1628년입니다. 그러니 그 후 다섯 번째 경진년은
1880년이 됩니다. 따라서 이 비는 1880년에 세워진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비의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며, 총 높이는 1.66m이고,
비신의 높이는 1.36m입니다.
오른쪽 비는 김경율
선정비(金敬律善政碑)입니다.
비문 가운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절충장군행별장김공경율□□선정비(折衝將軍行別將金公敬律□□善政碑)
숭정기원후오경진오월추군졸등립(崇貞紀元后五庚辰五月秋軍卒等立). 이 비 역시 1880년에 정락용 유혜비와 같이 세워졌습니다. 비의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며, 총 높이는
1.45m, 비신의 높이는 1.18m입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흥사터 부도 (0) | 2012.10.18 |
---|---|
운흥사터의 받침돌 (0) | 2012.10.17 |
경주박물관 미술관의 불두와 그 외 (0) | 2012.10.12 |
종오정 귀산서사의 주춧돌 (0) | 2012.10.10 |
거제 외포리 석조약사여래좌상 (0) | 2012.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