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유산

울산향교 석탑재

sky_lover_ 2018. 1. 4. 07:53

- 울산향교


신년 첫날 울산향교를 찾았습니다. 울산향교의 정문은 청원루(淸遠樓)입니다. 건물은 문루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집입니다.


울산향교의 창건 시기나 초기 내력은 임진왜란으로 기록이 사라져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한 고을 한 향교(一邑一校) 체제가 완성된 15세기경으로 추정됩니다. 처음에는 지금의 반구동 구교(舊校) 마을에 세워졌는데, 임진왜란 때 불탄 후 그곳에 다시 세워졌다가 효종 3년(1652년)에 지금 장소로 옮겨졌습니다. 당시에는 대성전, 동·서무, 동·서재 등 향교의 핵심 건물만 세워졌습니다. 그 후 숙종 37년(1711년)에 문루가 세워 작신루(作新樓)라고 하였는데, 정조 20년(1796년)에 청원루(淸遠樓)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 명륜당


향교는 조선시대의 공식적인 지방 교육기관입니다.

건물은 문묘(文廟)와 학당(學堂)으로 나뉩니다. 문묘는 공자를 중심으로 중국의 사성(四聖)·이현(二賢)과 우리나라 십팔현(十八賢)을 모신 대성전(大成殿)과 동·서무(東·西黛)로 되어 있습니다. 학당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강의실인 명륜당(明倫堂)과 기숙사인 동·서재(東·西齋)로 되어 있습니다.


울산향교의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집입니다. 이곳에서 시문을 짓는 사장학(詞章學)과 유교 경전을 공부하는 경학(經學)을 가르쳤습니다.


- 신삼문


명륜당 뒤쪽에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문이 있습니다. 신삼문(神三門)이라고 합니다.


- 대성전


신삼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대성전이 있습니다.


대성전은 정면과 측면이 모두 3칸인 맞배지붕집입니다. 건물은 높은 기단 위에 있으며, 전면의 출입문이 판장문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기단 양쪽에 돌계단이 있습니다. 이 돌계단에 석탑재 2개가 있습니다.


- 석탑재


석탑재①은 서무 쪽 돌계단 아래쪽에 있습니다. 상층기단 면석으로 추정됩니다.


- 석탑재


석탑재②는 서무 쪽 돌계단 맨 위쪽에 있습니다.


- 석탑재


석탑재②는 뒤집혀 놓여 있습니다. 하층기단석으로 추정됩니다. 저석과 면석이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면석에 모서리기둥과 가운데기둥이 있습니다.


- 석탑재


그동안 이 돌계단을 얼마나 많은 사람이 오르내렸겠습니까? 하지만 돌계단을 오르내리면서 깨어져 놓인 이 석탑재를 알아본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한때 석탑재는 여러 사람의 예배를 받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사람이 딛고 오르내리는 계단 돌일 뿐입니다. 이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무심한 겨울 햇살은 닳고 닳은 석탑재를 반들반들하게 비춥니다.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백양사  (0) 2018.01.08
울산병영성 석탑재  (0) 2018.01.05
정동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0) 2017.12.18
정동 구 러시아 공사관  (0) 2017.12.15
밀양 사명대사 생가지와 기념관  (0) 2017.12.07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