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산서당 창녕군 유어면의 남쪽 지역에 광산리(光山里)가 있습니다.광산(光山)은 400여 년 된 마을입니다. 광정(光頂)이라고도 했는데, '빛뫼'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앞산 꼬장뱅이산(光頂山)이 꽃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화존(花存)에서 '꽃(花)'이 '광(光)'으로 음차되어 광존(光存)이라고도 하였습니다. 그러니까 이곳 이름이 광정(光頂)이나 광존(光存)에서 광산(光山)으로 변했다 하겠습니다. 이곳 대동 마을 이강(梨岡)에 광산서당(光山書堂)이 있습니다. - 광산서당 광산서당의 전신은 광산서원(光山書院)입니다. 광산서원은 정조 19년(1795년)에 어촌(漁村) 양훤(楊晅, 1597∼1650)을 향사하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고종 5년(1868년)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서원이 훼철된 ..

- 광산서당 창녕 유어면 광산리 대동마을 조금 북쪽에 광산서당(光山書堂)이 있습니다. 광산서당의 전신은 광산서원(光山書院)입니다. 서원은 광산마을에 있었고, 양훤(楊喧, 1597~1650)을 배향했습니다. 정조 때인 1795년에 세워졌으나, 고종 때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습니다. 광산서원이 철폐되고 나서 생긴 것이 광산서당입니다. 광산서당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을 포위한 청나라 군사와 싸우기 위해 창녕 일대의 의병을 모아 출정한 양훤의 충의를 기리기 위하여 후손들이 세웠습니다. - 대문채 광산서당 안쪽에서 바라본 대문채입니다. - 광산서당 전체적인 건물 배치는 열린 '□'자형입니다. 앞쪽에 대문채가 있고, 좌우에 관리사와 재실이 있으며... - 광산서당 뒤쪽으로 마당에서 계단으로 이어진 한 단 높은 곳에 ..

- 멀리서 바라본 소곡서당 창녕군 고암면 우천리 마을 안쪽 골짜기에 소곡서당(蘇谷書堂)이 있습니다. 이곳은 장연 노씨(長淵盧氏) 3현인 노변소(盧抃素), 노침(盧沈), 노홍언(盧弘彦)을 제향하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처음 소곡사(蘇谷祠)라는 이름으로 세워졌는데, 연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철종 7년(1856년)에 원래 위치에서 500m쯤 떨어진 지금의 자리에 옮겨 세워졌고, 철종 8년(1857년)에 소곡서원으로 승격하였습니다. 그러나 고종 5년(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훼철되어 이후 소곡서당(蘇谷書堂)으로 개칭하여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습니다. - 대문채 소곡서당을 찾으면 담으로 둘러싸인 대문채가 제일 먼저 맞아줍니다. 건물은 가운데에 솟을대문이 있는 정면 5칸, 측면 1칸 규모입니다. - 강당 ..
- 창녕 광산서당 창녕 광산리(光山里)는 유어면의 남쪽 지역에 있습니다. 이곳은 남지읍 시남리, 장마면 신구리, 창녕읍 외부리와 경계하고 있습니다. 광산(光山)은 400여 년 된 마을입니다. 광정(光頂)이라고도 했는데, '빛뫼'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앞산 꼬장뱅이산(광정산(光頂山))이 꽃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화존(花存)에서 꽃(花)이 광(光)으로 음차되어 광존(光存)이라고도 하였습니다. 그러니까 이곳 이름이 광정(光頂)이나 광존(光存)에서 광산(光山)으로 변했다 하겠습니다. - 광산서당 이곳 대동마을 이강(梨岡)에 광산서당(光山書堂)이 있습니다. 광산서당의 전신은 광산서원(光山書院)입니다. 서원은 광산마을에 있었고, 양훤(楊喧, 1597~1650)을 배향했습니다. 정조 때(1795년)에 세워졌으나,..
- 창녕 원동서당 창녕 원촌리는 고암면의 서쪽 지역으로, 남쪽으로는 토평천(土坪川)을 경계로 억만리와 맞붙어 있습니다. 원촌이란 지명은 토평천(옛 이름은 물슬천(勿瑟川))의 흐름에서 유래했습니다. 원촌(元村)은 원래 원촌(圓村)이라 했습니다. 냇물은 구불구불 굽이치며 흐르게 마련인데, 물길이 이곳에서 둥글게 돌아서 갑니다. 그래서 둥근 마을이라는 뜻으로 원촌(圓村)이라 하였습니다. 또한, 주위 산도 돌방하고 장기리에서 넘어오는 고개도 돌방하여 돌방 또는 돌방고개라 하였습니다. '돌방'은 둥글다는 이곳 사투리이니, 원촌(圓村)이란 이름과 다를 바 없습니다. 그런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둥글 '원(圓)'이 이곳 지명 유래와는 무관한 으뜸 '원(元)'으로 바뀌었습니다. - 원동서당 이곳 불탕골에 원동서..